[사설]클라우드 확대를 기대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사업에 상당한 예산을 배정했다. 내년 관련 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환영할 만한 조치다.

내년도 국가정보화 예산은 총 5조2347억원으로 책정됐다. 중앙 정부가 4조1849억원, 지자체가 1조498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각 부처는 지능정보기술 활용 분야 투자를 강화한다. 클라우드 부문 예산 증가율이 높다. 올해 4000억원대에서 내년도에 약 1000억원 증액했다. 행정안전부는 노후 장비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키로 했다. 여기에 800억원을 투입한다. 기상청은 클라우드를 도입, '선진예보시스템'을 구축한다. 클라우드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빅데이터 분야에는 2123억원이 배정됐다. 빅데이터 사업 가운데 약 31%(670억원)가 신규 사업이다. 국세청이 빅데이터센터를 설립, 세금 탈루를 막는 사업 등이 주목된다.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데이터의 고속도로가 클라우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진입하기 위한 인프라다. 4차 산업혁명이 클라우드와 데이터 기반 혁명으로 불리는 이유다. 기존에 서버는 기업과 조직 내부에 두고 사용하는 폐쇄형 인프라다. 반면에 클라우드는 외부에 개방하고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고 처리해야 하는 기술 트렌드에 최적화됐다. 국가마다 앞 다퉈 클라우드를 확대하는 이유다.

한국 클라우드 활용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 수준에도 못 미친다. 이면에는 클라우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자리한다. 스마트 공장은 클라우드에 기업 데이터를 올리길 우려한다. 클라우드에 보관된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정부도 마찬가지다. 각 부처의 클라우드 활용은 사실상 봉쇄된 상태다. 보안 명목으로 클라우드 사용이 금지됐다. 조직 내부는 물론 국민과도 연결이 안 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이 추락하는 이유의 하나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차단이 지목되기도 한다.

내년도 예산 배정만 놓고 보면 정부의 지향점은 고무시킨다. 전 산업, 전 서비스와 ICT가 융합되도록 견인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도 확인할 수 있다. 남은 과제는 실행이다. 예산이 배정됐다고 해서 클라우드 사용률이 저절로 높아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