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업구조 혁신에 1조 투입...生産유발 2조, 취업유발 1.1만 목표

정부가 국내 기업구조 체질개선을 위해 약 1조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별도 모자(母子)펀드를 조성해 중소·중견기업 구조조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허약 체질을 단단하게 하고 모험자본 투입을 통한 유망 중소기업 재기를 돕기로 했다.

참석자들이 양해각서 체결을 마치고 박수를 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은성수 수출입은행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문창용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정준영 서울회생법원 수석부장판사, 최종구 금융위원장,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도진 기업은행장, 이동춘 한국성장금융 대표
참석자들이 양해각서 체결을 마치고 박수를 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앞줄 왼쪽 두 번째부터) 은성수 수출입은행장,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문창용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정준영 서울회생법원 수석부장판사, 최종구 금융위원장,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도진 기업은행장, 이동춘 한국성장금융 대표

18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 시중 8개 은행,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성장금융과 기업구조혁신펀드를 만드는데 합의했다.

우선 이들 기관이 약 5000억원을 출자해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조성한다.

출자는 내년 2월까지 이뤄진다. 펀드에 먼저 돈을 붓는 방식이 아니라 캐피탈 콜(capital call) 방식이다. 펀드 운용은 성장금융이 맡는다. 모펀드는 개별 기업의 구조조정을 위한 사모펀드(PEF)들을 조성한다. 자(子)펀드를 두는 셈이다.

PEF에 대한 모펀드 출자는 50% 미만으로 유지한다. 나머지는 민간 투자자(LP)를 자본시장에서 끌어들이고, 민간 운용사(GP)를 두기로 했다. 민간 투자자의 자금을 끌어들여 총 1조원 규모로 펀드 자금을 늘린다.

금융당국은 펀드 운용으로 2조원의 생산유발효과, 1만100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기업구조혁신펀드가 투자하게될 기업군은 중견·중소기업이다. 이 중 존속가치가 높은 회생형 시장 기업에 먼저 투자하고, 이후 청산형 부실채권(NPL)으로로 투자를 확대한다.

구조조정 시장 활성화를 위해 자본시장과 기업을 연결하는 '기업구조조정 플랫폼'도 구축한다.

정부는 캠코 지역본부 내 27개 오프라인 지원센터를 신설, 온라인 정보플랫폼을 만들기로 했다.

이를 통해 자율협약·워크아웃기업(B~C등급)과 회생절차기업(D등급)으로 구분해 지원하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지원센터는 LP에 구조조정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기업에는 제대로 자격을 갖춘 LP를 물색해주면서 자금 수요자와 공급자를 맞추는 '정보 중계'역할도 담당한다.

자본시장과 기업을 연결하는 새로운 기업구조조정 플랫폼이 가동되는 셈이다.

아울러 회생기업 경영상화 지원방안을 통해 기술력은 우수하지만 시장에서 소외된 회생기업에 대해 공적지원을 강화한다. 회생 기업 대상의 개인 상각 채권을 캠코가 일괄 정례적으로 매입하기로 했다.곳곳에 흩어진 회생절차 중소·중견기업 채권을 사들여 'DIP(기존 경영권 유지) 금융'을 제공한다.

기업 부동산 등을 사들여 재임대하는 '세일 앤드 리스백(S&LB)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금융 공공기관들로부터 정기적으로 기업 NPL을 사들여 DIP 금융과 S&LB 대상 기업을 선정하고, 이렇게 결집된 채권에 대한 LP를 자본시장에서 모집한다.

회생절차 중소기업은 캠코의 DIP 금융을 활용하거나, 서울보증이 구조조정 기업당 최대 150억원의 이행성 보증(RG)을 지원해 한도성 여신을 확보할 수 있다

[표] 기업구조혁신펀드 출자구조(자료-금융위원회)

정부, 기업구조 혁신에 1조 투입...生産유발 2조, 취업유발 1.1만 목표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