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美 금리 인상, 수출 불확실성 커질 듯

미국 금리 인상은 지난해부터 지속적인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 수출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요인이다. 수출을 끌어내리는 하방리스크 작용이 예상된다.

주요 업종과 수출 지역별로 특화 전략을 세워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우선 미국 경기 개선에 근거한 금리 인상은 당분간 대미(對美) 수출 증가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금리 인상 이후 달러 강세에 따라 미국 제조업이 부진해지면 대미 수출 증가세 둔화 요인이 된다.

최근 세탁기·태양광 세이프가드 조치에서 보듯 강화되는 보호무역주의도 대미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미국 금리 인하로 인한 세계 경제 파급도 면밀히 살펴야 한다.

관건은 신흥국으로의 수출 부진 가능성이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불안은 우리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미국 금리 인상은 자산가격, 환율, 금리, 원자재 가격 경로 등을 통해 신흥국 금융 시장과 실물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미국 금리 인상 영향으로 신흥국에서 자본유출 등 금융 불안이 발생하면 우리나라 수출에 치명적이다.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미국 금리인상으로 신흥국 경제가 위축되면 우리 수출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금융 불안, 환율 변동성 확대 등이 우리 수출에 미칠 영향에 선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국제유가 하락세를 가속시켜 대산유국 수출 하락도 불러올 수 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제품,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 신흥국 수출 주력 품목을 중심 둔화가 예상된다. 주요 품목 중 석유화학 중간 원료, 평판 디스플레이는 총수출 90% 이상이 신흥국으로 간다. 또 합성수지, 철강판, 반도체, 자동차 부품의 신흥시장 수출 비중도 높은 편이다.

미 금리 인상에 따른 환율 변동 가능성은 우리 수출 기업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요인이다. 대부분 수출 기업이 환차손에 노출됐지만, 절반 이상은 환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지 않는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다소 과열되면서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것도 위기 요인이다.

정부도 미국 금리 인상을 올해 수출 위기요인으로 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수출 하방리스크 선제 대응을 위해 정책 역량을 총동원할 예정이다.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를 상반기 조기 투입하고, 고위급 해외순방과 연계한 신흥국 경제외교 강화, 신남방정책 지역 중심의 무역사절단을 집중 파견한다.

민성환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미국 금리 인상은 단편적으로 우리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지만, 우리 산업 구조가 환율 변화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할 정도로 취약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다만 미국 금리 인상 속도는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업종 및 지역별 수출 대책을 신속하게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종석 산업정책(세종) 전문기자 js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