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김종환 KAIST 공대학장 "KAIST 윤리 팽개칠 수 없어"

김종환 KAIST 공과대학장
김종환 KAIST 공과대학장

“다시 한번 말하지만 KAIST는 '킬러 로봇' 연구와는 전혀 상관없는 곳입니다. 결국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이런 논란이 일어났다는 것에 모욕감을 느낍니다.”

김종환 KAIST 공과대학장은 최근 KAIST를 겨냥한 킬러 로봇 논란에 억울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분야를 연구하는 KAIST 교수와 학생, 나아가 학교 전체가 억울하게 '윤리에 어긋난 곳'으로 취급을 받았다는 것이다.

김 학장은 “로이터 선정 세계 혁신대학 6위에 꼽힐만큼 능력을 인정받는 KAIST가 어떻게 인권과 윤리를 내팽개칠 수 있겠느냐”며 “킬러 로봇과 같이 사람 존엄성을 해칠 우려가 큰 기술 연구는 그동안 해 오지도 앞으로 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KAIST에서는 현재 65명의 관련 분야 교수, 수많은 제자가 힘을 합쳐 AI 분야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AI의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 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블록체인 등 기초부터 응용 분야까지 다양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사람의 목숨과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연구 사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김 학장 스스로도 현재 로봇이나 드론에 탑재해 재난구조를 돕는 AI 연구, 산업현장 및 원자력 분야의 장비·부품 이상을 진단하거나 예측하는 '온라인 리커런트 익스트림 러닝머신(OR-ELM)' 연구를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AI 연구를 대폭 확대하고 있지만 윤리에 어긋난 연구는 전혀 없었다. 문제가 된 국방AI융합연구센터 역시 물류, 항법, 훈련 분야를 개발하는 곳이다. 살상용, 공격용 무기개발은 애초에 생각도 하지 않았다. 킬러 로봇 논란은 아니 땐 굴뚝에 연기가 난 사례다.

김 학장은 “AI는 사람을 다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우리 연구자가 꼭 지켜야할 연구 윤리”라며 “심지어 제네바 협정에서도 무인 무기도 대상을 공격하는 최종 결정은 사람이 하도록 제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KAIST는 앞으로 하는 연구도 마찬가지로 윤리에 기반해 모두의 이익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김 학장은 인류, 산업의 발전을 돕는 AI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AI가 사람을 해치는 도구가 아닌, 곁에서 돕는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탠다는 것이다. 다양한 AI의 기능을 고도화·융합해 '감성형 디지털 생명체'를 구현하는 것이 주된 목표다. 사람과의 대화(인터렉션), 작업, 사물·음성 인식, 사고, 저장 등 다양한 기능을 합친 통합 AI를 구축해 AI를 인간의 진정한 친구로 만드는 연구를 수행한다.

김 학장은 “KAIST는 앞으로도 모든 인류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선진 연구에 앞장설 계획”이라면서 “킬러 로봇을 연구하기에는 더 큰 연구와 현안이 산적해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