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드얼론(SA)' 포함 5G 1차 표준 완성

5세대(5G) 이동통신 1차 표준이 완성됐다. 5G 시대 전환을 위한 기술 표준이 완비됐다는 의미로,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제표준화단체 3GPP는 부산에서 열린 실무그룹(RAN 워킹그룹) 회의에서 5G 1차 표준을 완성했다. 내달 11일 미국 샌디에이고 총회에서 최종 승인하지만 형식적인 절차라 5G 1차 표준 개발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실무그룹은 5G 단독모드 '스탠드얼론(SA)'을 비롯해 초고속·초저지연을 위한 무선접속 기술, 단말과 기지국 전파방사 요구사항, 5G 단말 평가방법 등을 확정했다. 3.5㎓와 28㎓ 등 주파수 대역별 전파출력도 결정했다.

SA는 무선망(기지국)에서 롱텀에벌루션(LTE)과 5G를 동시에 사용하는 '논스탠드얼론(NSA)'와 달리 5G 코어와 5G 무선망을 단독 연결한다. LTE 없이 고정형 서비스와 이동성 관리까지 모두 5G 무선망으로 처리하는 순수 5G 기술이다.
SA는 무선망(기지국)에서 롱텀에벌루션(LTE)과 5G를 동시에 사용하는 '논스탠드얼론(NSA)'와 달리 5G 코어와 5G 무선망을 단독 연결한다. LTE 없이 고정형 서비스와 이동성 관리까지 모두 5G 무선망으로 처리하는 순수 5G 기술이다.

관심을 모은 건 SA다. SA는 무선망(기지국)에서 롱텀에벌루션(LTE)과 5G를 동시에 사용하는 '논스탠드얼론(NSA)'와 달리 5G 코어와 5G 무선망을 단독 연결한다. LTE 없이 고정형 서비스와 이동성 관리까지 모두 5G 무선망으로 처리하는 순수 5G 기술이다.

3GPP는 초기 5G 한계를 극복하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지난해 말 NSA 표준을 앞서 완성했다. 이어 초저지연통신(URLLC)과 초광대역이동통신(eMBB)에 최적화된 SA 표준도 완성, 5G 1차 표준 개발을 마무리했다.

통신사 관계자는 “NSA와 SA는 최고 속도 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SA는 순수 5G 규격으로 기술은 고도화됐고 망 구조는 훨씬 단순하다”면서 “간편한 네트워크 확장을 비롯해 장점이 다양하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 여력이나 통신 환경에 따라 NSA를 건너뛰고 곧바로 SA를 상용화하는 곳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A 표준 규격 완성으로 장비 제조사는 칩과 기지국 등 장비 개발에 착수할 수 있게 됐다. 3GPP는 2019년 4분기부터 SA 표준에 따른 장비가 출시되고 망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5G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사업자나 LTE 망 구축이 늦어진 국가가 SA에 관심을 가질 전망이다.

3GPP는 내달 총회를 끝으로 표준개발 단계 중 하나인 릴리즈15를 마무리한다. 하반기 시작할 릴리즈16에서는 5G 고도화 중심 2차 표준이 개발된다. eMBB와 URLLC뿐만 아니라 초연결(mMTC) 지원, 5G 통신 테스트 방법론 등을 개발한다. 2차 표준 기반 망 구축 시점은 2021년 초다.

〈표〉3GPP 및 ITU 5G 표준화 일정

'스탠드얼론(SA)' 포함 5G 1차 표준 완성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