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치 다음은 경제다

슈퍼 위크도 막바지다. 북미정상회담은 큰 틀에서 비핵화에 합의하며 역사적인 첫 걸음을 시작했다. 지방선거도 큰 사고 없이 마무리됐다. 북핵 문제와 선거라는 초대형 정치 일정으로 숨 가쁘게 돌아간 한 주였다. 회담 성과와 선거 결과를 놓고 무성한 분석 및 전망이 쏟아져 나왔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 합의는 아쉬움이 남지만 만남만큼은 의미가 깊었다. 결국 공은 실무 협상으로 넘어갔다. 정확한 회담 성과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

지방선거는 예상대로 여권 압승이었다. 대통령 선거 이후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이번 선거에서 국민은 문재인 정부에 확실한 힘을 실었다. 지금 정부에 공과가 있고 물밑 여론은 다르다는 비판 목소리도 있었지만 민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 주었다. 그렇다고 여권이 샴페인을 터뜨릴 분위기는 아니다. 압승은 변하지 않는 보수층에 대한 염증이었고, 반사이익이라는 측면이 크다. 지리멸렬한 야권을 겨냥한 심판이었다는 분석이 오히려 맞다.

정치·외교 이슈 이후에 남은 과제는 경제다. 북핵 문제, 지방선거와 같은 이슈에 밀려서 경제 이슈는 찬밥이었다. 국정 농단에 따른 과거 적폐 청산 작업과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안보 정국이 이어지면서 경제 문제는 다소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지금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혁신 성장, 소득 주도 성장, 공정 경제 등을 둘러싼 사회 논란도 여전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평가를 이야기하면 이래저래 빠지지 않는 아킬레스건도 경제였다.

부동산 정책 연착륙은 물론 청년실업 문제 해결, 일자리 창출, 소득 양극화 해소까지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경제 이슈와 관련해 시장에서 들리는 크고 작은 목소리를 꼼꼼하게 들어야 한다.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경제 성과를 내놓지 못한다면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민심은 천심이지만 변덕도 심하다. 예측할 수 없는 표심이 보여 줬다. 정치 이슈 다음은 항상 경제 이슈였다. 민생을 챙기지 않고 성공한 정권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