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이주현 ETRI 프로세서연구그룹 박사

“사물을 인지하는 기술의 기준점은 사람입니다. 사람만큼 이후에는 사람 이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속된 연구로 인체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하겠습니다.”

이주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프로세서연구그룹 박사는 CPU프로세서, 이동통신 모뎀을 비롯해 다양한 반도체 분야에서 활약한 반도체 칩 설계 전문가다.

최근에는 사람에 비견되는 수준으로 인지능력을 갖춘 시각지능 칩을 개발했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물체를 학습해 사람 수준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주현 ETRI 박사가 시각지능 칩 크기를 동전과 비교하는 모습.
이주현 ETRI 박사가 시각지능 칩 크기를 동전과 비교하는 모습.

칩은 크기가 성인 손톱 절반만한 수준이지만 성능은 강력하다. 초당 33회 사물을 인식한다. 기존 칩은 초당 1회만 가능했다. 칩 신경연산 속도도 기존 대비 10배나 빠르다.

기술 핵심은 두뇌 신경연상 모사다. 기존에는 사물이 가진 표면 질감이나 테두리와 같은 특징점을 추출해 해당 사물이 무엇인지 가려냈다. 반면에 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딥러닝 학습을 토대로 신경망이 대상 정체를 자동으로 찾아내게 했다.

그는 “기존보다 더 빠르면서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칩을 개발했다”면서 “이 칩은 시각지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칩은 감시 카메라나 자율주행차에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기기나 장치에서 주변 상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연구에서 어려웠던 점은 이 모든 것을 칩 하나로 구현하는 일이었다. 시각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은 많았지만 이를 하나의 온전한 칩으로 구현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박사가 관련 연구에 나서게 된 것은 뇌를 모사하는 기술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됐기 때문이다. 본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램 메모리 같은 연구를 했으나 뇌를 모사할 때 더 큰 성능을 낸다는 것에 주목해 이번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는 “사람 두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고, 기술로 활용해 기존 영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분야도 많다”고 말했다.

현재 가지고 있는 목표는 시각지능 칩으로 '상황 이해'을 구현하는 것이다. 사람이 광경이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은 주의 집중, 모양인식, 추출, 상황 이해 총 4단계다. 이 가운데 세 번째 단계까지는 기술로 구현 가능하지만 보이는 것에서 정보를 얻은 것을 넘어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칩으로 상황 이해가 가능해지면 새로운 '엣지컴퓨팅' 시대를 열 수 있다. 엣지컴퓨팅은 클라우드나 서버와 같이 외부에서 해오던 분석 업무를 센서와 같은 말단 영역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기술 발전 핵심이다.

이 박사는 “말단에서 분석과 상황 이해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한다면 시각지능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면서 “기술 개발로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