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이 대한민국 바꾼다]"국가나노기술지도, 국가 R&D 길잡이돼야"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위원장을 맡은 김기범 서울대 교수. <전자신문DB>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위원장을 맡은 김기범 서울대 교수. <전자신문DB>

“아무리 잘 만든 지도라도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국가나노기술지도가 만들어진 취지를 살려 앞으로 국가에서 나노 관련 액션플랜을 만들 때 지도가 제시한 그림이 충분히 수용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연구계나 기업 종사자들도 필요할 때 들여다보고 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위원장을 맡은 김기범 서울대 교수는 국가나노기술지도가 우리나라 나노기술 연구개발(R&D)에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잘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나노기술연구협의회와 나노기술정책센터 주도로 연구자 80명 정도가 모여 1년 가까이 브레인스토밍을 해서 만든 결과물”이라면서 “많은 연구자들의 땀과 정성이 들어간 데이터인 만큼 이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와 산업계, 연구계 각자 나름의 그림을 그리겠지만 국가나노기술지도라는 큰 틀 안에서 '나노 기술이 앞으로 이런 식으로 발전하겠구나'하는 로드맵을 공유해야 한다”면서 “과기부 공무원들이 국가 과제를 기획하고 예산을 배정할 때 지도가 만든 프레임 안에서 작업을 해야 연구계와 산업계에 있는 사람들도 국가의 연구개발 방향을 이해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세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가 이전 1, 2기 지도와 차별화되는 요소로 단순히 나노기술과 이를 응용한 최종제품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10년 후 사회 모습을 닮은 미래상과 연계해서 나노기술의 비전을 제시했다는 점을 들었다.

김 교수는 “1기 지도는 방향성 없이 연구 현황과 기술 수준을 나열한 사전식 지도였고 2기 지도에서는 5~10년 후 전망을 토대로 산업계에 있는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방향성을 반영했지만 엔지니어 중심으로 지도를 만들다보니 충분히 확장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면서 “3기 지도는 앞으로 5~10년 후 국민들이 어떤 삶을 바라는지 먼저 생각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노 기술을 기반으로 정책과 산업계, 연구자들이 어떻게 움직여야하는지 그림을 그린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아무리 많은 사람이 모여 그림을 그린다고 해도 지도가 완벽할 수 없고 부족한 부분은 있을 수 있다”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지도를 활용하는 시점에 상황이 변할 수도 있는 만큼 지도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디테일한 부분은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수정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