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BPR 전문가 제도 추진에 업계 '또 허들' 우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공공정보화 업무재설계(BPR) 전문 자격제도를 도입한다. 정보기술(IT)서비스 등 관련업계는 BPR 자격제도가 공공시장 진입장벽으로 여겨진다며 도입 반대에 나섰다.

1일 조달청에 따르면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공공정보화사업 업무재설계(BPR) 전문 인력 양성과 관리방안 연구 사업을 발주했다. 공공사업 특성상 민간에서 세부내용을 파악하기 쉽지 않아 BPR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NIA 관계자는 “공공정보화 BPR를 민간 컨설팅 기업에 맡겨왔지만 공공사업 이해도에 따라 결과물 수준이 천차만별이었다”면서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와 NIA는 올해 공공정보화 BPR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다.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 교육과정 개발과 대상 선정방안을 수립한다. BPR 품질과 활용가치를 높이고 이론·실무 교육 커리큘럼과 관리방안을 수립해 내년부터 적용한다. 자격제도도 도입한다.

PMO(프로젝트관리조직)처럼 전문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자격제도를 도입한다는 게 정부 취지다. 그러나 업계는 BPR 자격제도 도입이 공공사업 수주에 '허들'이 될 것으로 여긴다. 정부가 제안요청서에 전문가 보유 제안업체에 입찰자격이나 가점 부여를 검토하기 때문이다. PMO 전문가는 제도 도입과 동시에 활성화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BPR는 도입된 지 20년이 됐다.

IT서비스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서 BPR 전문가는 넘쳐나며 공공정보화 업무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업 초기에 직접 실사를 한다”면서 “정부가 이제 와서 전문성을 이유로 자격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은 결국 또 다른 규제를 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도 “BPR는 정보화 사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절차”라며 “BPR라는 개념이 나온 지 20년이 된 지금 자격제를 도입하려는 취지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공공정보화 BPR가 정보화전략계획(ISP), 정보화사업은 물론 크게는 전자정부 사업까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전문적 교육 커리큘럼을 마련하고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문가를 통해 정부 정보화사업과 전자정부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라면서 “발주기관은 물론 사업을 수행하는 업계 의견을 두루 수렴해 실효성 있는 제도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업무프로세스재설계(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비즈니스 절차 분석으로 업무에서 불필요한 절차·비용이 있는지 확인해 사업 진행 합리성을 높이고 최적화하는 과정이다. 오프라인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전환할 때는 물론 기존 ISP 수립이나 기존 시스템 고도화 시에도 필요한 선행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