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1523억 들여 화장품 산업육성...복지부, 990억 투입

민·관 1523억 들여 화장품 산업육성...복지부, 990억 투입

한 외국인이 한국 화장법을 배우고 있다.(자료: 전자신문DB)
한 외국인이 한국 화장법을 배우고 있다.(자료: 전자신문DB)

민·관 1523억원을 투입해 화장품 산업을 육성한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 등 대외환경 대응과 영세기업을 지원한다. 산업육성법을 마련해 규제 개혁과 특구 지정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피부과학 및 코스메틱 기반기술 개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총 사업예산 1523억원 중 65% 990억원은 정부가 투자한다. 나머지는 민간이 부담한다. 내달 중 예비 타당성검토를 통과하면 2020년 착수한다.

정부는 분산된 화장품 산업 육성 연구개발(R&D) 과제를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두 축으로 개편했다. 990억원은 정부가 화장품 산업에 투자한 금액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연도별 화장품 수출액 현황(자료: 복지부)
연도별 화장품 수출액 현황(자료: 복지부)

방향은 △나고야 의정서 발효 대응 △화장품 산업 패러다임 전환 대응 △중소기업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등 세 가지다.

나고야 의정서는 국제 생물자원 이용에 따른 이익을 자원 보유국과 이용국이 서로 배분하는 국제 규약이다. 우리나라는 2017년 3월 국회 본회의 통과 후 7월 공식 발효됐다.

중국 등 해외에서 수입한 자원을 원료로 이용하는 국내 화장품 업계가 직격탄을 맞는다. 국내 화장품 수입소재 비중은 약 70%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5000억원에 달한다. 연간 로열티로만 5000억원 이상 추가 부담이 예상된다.

복지부는 나고야 의정서 대응을 위해 자생 유전자원 소재화 기술을 개발한다. 수입대체 지역 특화 자원 소재 기술과 바이오텍 기반 소재 생산기술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과 연계해 토종 화장품 소재발굴이 목적이다.

영세한 산업구조 탈피를 위해 '중소기업 공용 첨단평가 및 제형기술 기반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화장품을 사용했을 때 피부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에는 상품 신뢰를 높이는 잣대가 된다. 천연물 등 원료를 제형화하는 신개념 코스메틱 적용 제형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급변하는 화장품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 기술도 확보한다. 최근 질병, 노화 등 연구에 활발히 활용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대표적이다.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유전정보를 활용해 문제를 개선하는 화장품 기술을 개발한다. 감성 코스메틱스 연구 △환경오염 피부영향 연구 △지역·인종 특성 맞춤형 코스메틱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연말까지 화장품산업육성법을 제정해 국회 발의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해 화장품 관련 규제 개선, 지역 거점 개발 등 종합 육성 방안이 담긴다.

국가별 화장품 수출 현황(자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국가별 화장품 수출 현황(자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은 'K-뷰티' 열풍을 타고 고속 성장을 거듭했다.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2011년 약 9112억원에서 지난해 5조5437억원으로 여섯 배 늘었다. 국내 수출품목 순위 역시 2012년 94위에서 2017년 23위까지 급등했다.

수치는 성장세지만 취약점이 많다. 수출국가가 중국, 홍콩이 63%에 달한다. 특정국가 의존도가 높다. 나고야 의정서 발효 등 대외 변화에도 취약하다. 무엇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가 크다. 국내 화장품 기업 중 매출 10억원 미만 업체가 전체 90.2%를 차지한다. 매출 1000억원 이상 대기업이 전체 생산 74.8%를 맡는 구조다. 수출국가 다변화 화장품 자원 국산화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가 시급하다.

박민정 복지부 화장품·의료기기TF 팀장은 “이번 사업은 중소 화장품 기업 역량을 끌어올리고 개별기술이 아닌 공통 기술 플랫폼 마련이 핵심”이라면서 “내달 예산을 확정하고, 관계 부처와 협의해 화장품산업 육성법 제정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