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강소특구를 잡아라...유치 경쟁 치열

지방자치단체 간 강소특구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강소특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존 연구개발(R&D) 특구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새로 기획한 새로운 형태의 과학기술 특구다. 대학, 연구소, 공기업,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산업 기능에 주거·생활·문화 기능을 더한 자족형 혁신 생태계를 지향한다.

정부가 기존 연구개발(R&D) 특구 신모델인 강소특구 지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전국 지자체들이 강소특구 유치전에 뛰어들었다.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경.
정부가 기존 연구개발(R&D) 특구 신모델인 강소특구 지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전국 지자체들이 강소특구 유치전에 뛰어들었다.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경.

경기도와 충남도 등 지자체들에 따르면 과기부는 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올 하반기에 수시로 강소특구 지정 신청을 받아 내년 초에 두세 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 충남도, 경남도, 전남도, 전북도 등 지자체들이 강소특구 유치를 위한 준비 작업에 속속 착수하면서 유치전이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경기도는 안산시와 공동으로 산·학·연 첨단 과학기술 클러스터인 안산사이언스밸리 일대, 충남도는 천안아산 KTX 역세권 R&D 집적지구를 각각 강소특구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 경남도는 조만간 강소특구 대상 지역을 찾기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한다.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등과 강소특구 추진위원회도 구성, 대응하기로 했다.

전남도와 광주시·나주시는 빛가람 강소특구, 전북도와 군산시는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강소특구 유치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울산시와 포항시도 각각 강소특구 지정 준비에 나섰다.

이처럼 전국 지자체가 강소특구 유치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기존 R&D특구처럼 세금 면제와 개발 부담금 감면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데다 정부 지원으로 인력 양성과 기술 개발 사업화, 융·복합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R&D 특구를 유치하지 못한 지자체 대부분이 강소특구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돼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소특구는 대형화, 분산화, 미개발지 장기화 등 기존 R&D특구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는 한편 혁신 주체 간 집적과 연계를 유도하는 동시에 지정 공간을 소규모 집약화한 것이 특징이다. 혁신클러스터 자력 성장에 초점을 맞췄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R&D 특구제도의 틀을 과학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환경 변화에 맞춰 조정했다”면서 “전문가위원회의 심사와 관계부처 협의, R&D특구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최종 강소 특구를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신청에서 지정까지 18개월이 걸린 R&D 특구와 달리 강소특구는 3~6개월 안에 지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표-기존 R&D 특구와 강소특구 비교>

전국 지자체, 강소특구를 잡아라...유치 경쟁 치열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