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금리차 0.75%P 임박…연내 1%P까지 벌어질 가능성도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9월 미국 금리인상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한국과 미국 정책금리차가 0.75%포인트(P)까지 확대되는 일이 '초읽기'에 들어섰다.

이에 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인상할지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5∼26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개최하고 정책금리를 결정한다. 이미 미국은 0.25%P 인상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번 FOMC가 지나면 한·미 금리 차는 지난 3월 역전된 이후 0.75%P까지 벌어진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한은 금리보다 0.50%P 높기 때문이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9개월째 1.50%로 동결시키고 있다. 지난해 11월 인상한 이후 추가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3월부터 이미 두 차례나 금리를 올렸다.

9월, 12월 두 차례나 추가 인상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은이 향후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도 금리를 동결하면 양국 금리 차는 1%P로 확대된다. 2006년 중반 기록한 최대치와 같다.

한은이 연내 한 차례 올리더라도 미국이 내년에 금리인상을 계속하면 금리 차 간극은 확대된다.

한·미 금리 역전이 바로 자본 유출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실제로 올해 들어 8월까지 외국인 증권자금은 플러스다. 미·중 무역분쟁 우려에 따른 위험회피심리의 확대 영향으로 주식자금은 빠져나갔지만 공공자금이 국내 채권을 대규모 매입했다.

한은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투자금이 수익을 좇아 금리 차이 및 환율 전망 등을 반영해 발생하는 자본유출입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한 금통위원도 “서든 스탑 내지 급격한 자본유출을 촉발하는 요인에는 경상수지, 외채, 재정수지, 인플레이션, 비경제적 요인 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정상적인 금리 격차가 자본의 급격한 유출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1%P까지 한·미 기준금리가 벌어지면 부담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신흥국 등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한국 경제로까지 파장이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은에서는 부진한 경제 지표로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이낙연 국무총리가 정부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기준금리 인상 생각할 때가 됐다”고 발언, 한은의 고뇌가 깊어지고 있다. 10월 금통위서 바로 금리를 올릴 경우 '정부 입김이 작용한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