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업부 장관, 현장 담은 정책을 기대한다

성윤모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산업 현장을 찾아 소통을 시작했다. 27일 취임식을 몇 시간 앞두고 자동차 부품업체를 방문, 위기에 선 차량용 전장업계 현황을 둘러봤다. 지난 22일 임명된 후 첫 행보로 로봇 제조 중소기업을 찾아 제조업과 중소기업 중요성을 강조했다. 방문 현장에서는 산업과 기술에 대한 신임 장관의 관록과 열정으로 인해 열띤 대화가 끊이질 않았다. 성 장관은 산업계 전 업종과 소통을 이어 갈 계획이다.

산업 기술은 한국을 일으킨 동력이다. 혁신을 이끌 산업 기술 정책이 후순위로 밀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지금의 상황이 이어진다면 우리 미래는 없다. 정부 혁신 성장은 신산업 육성 이상으로 기존 주력 산업 고도화와 융·복합이 성패를 좌우한다. 기존 산업 정책의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면 혁신 성장 구호는 사상누각으로 전락한다.

성 장관은 산업부 업무 대부분을 거친 베테랑이다. 어느 장관보다 정책 이해도가 깊다. 산업기술 분야는 물론 현 정부가 주력하는 4차 산업혁명 기반이 될 제조업 혁신과 E매뉴팩처링 분야 등 디테일한 분야까지 섭력했다. 청와대 국정상황실 행정관, 제네바 유엔대표부 공사참사관,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 특허청장을 지내면서 국내외에 폭넓은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성 장관은 취임사에서 “내실 성장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을 펼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위축된 산업 현장의 답답한 분위기와 생산성 악화를 쇄신하겠다는 일성이다.

정부 출범 이후 산업 정책은 복지부동이었다. 정부와 업계 소통은 물론 주무 부처인 산업부 내부 소통까지도 막혀 있다는 불만이 팽배했다. 산업부 내부에서는 '가장 힘든 시기에, 구성원조차 힘겨워할 때' 새 장관이 취임했다고 말한다. 사기와 위상 모두 떨어질 대로 떨어진 상태다. 신임 산업부 장관은 제로베이스에서 목표와 방향을 새롭게 수립해야 한다. 내부 조직과 외부 현장 소통을 통해 '현장과 책임감'이 담긴 정책을 펴 나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