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AI·유전자편집 등 신기술..."인류 삶 개선하지만 불평등·혼란 야기"

UN, AI·유전자편집 등 신기술..."인류 삶 개선하지만 불평등·혼란 야기"

인공지능(AI), 유전자편집 등 신기술이 인간 삶을 개선하는 잠재력을 지녔지만 더 큰 사회 불평등·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유엔 진단이 나왔다.

9일 AP통신에 따르면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2018 세계 경제사회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술 진보가 유엔이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보고서 서문에 “유전자 편집, 3D 프린팅, 재생에너지 등 신기술은 '2030 어젠더' 달성을 위한 엄청난 잠재력을 갖는다”면서 “기술혁신을 온전하게 이용하면 인간의 건강, 장수, 번영 지속가능한 환경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은 2030년을 목표로 인류 사회 탈빈곤·탈기아, 경제성장, 일자리 증진, 지속가능한 산업, 기후변화 대응 등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어젠더를 채택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신기술은 심각한 우려도 낳는다”며 각국 정부가 첨단기술을 상업뿐 아니라 공정하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진국은 신기술로 질병을 퇴치하고 인간 수고를 덜어낸다. 반면 개발도상국 국민은 기존 재래식 기술이 가져다준 혜택조차 완전히 누리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유엔 전문가도 '거대한 기술격차'가 지속된다고 지적했다.

기술 진보가 '2030 어젠더'를 달성하는 기반이 되지만 빈곤 퇴치, 불평등 감소, 공동 번영, 기후변화 대처 등에 합당한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것이 보고서 지적이다.

특히 AI로 움직이는 로봇은 생산량 증대에 도움을 주지만 인간 일자리를 심각하게 파괴한다. AI 기반 판단·결정 시스템도 공공서비스 접근을 개선하지만 편견, 차별의식을 증대하는 위험도 내포한다.

보고서는 AI 기반 결정에 더욱 큰 투명성과 책임감이 부여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