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IP 경쟁력 분석]내수시장 편중된 IoT, 전문 인력 등 글로벌 진출 기반 닦아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IoT 특허 경쟁력이 미국·일본에 한참 뒤처진 건 내수 시장에 편중된 산업 구조가 요인으로 지목된다. IoT 기업 다수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여력이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다. 판로 개척을 위한 시장 정보와 특허를 비롯한 전문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사물인터넷협회가 발간한 '2017년 IoT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IoT 기업은 2100여개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해외 진출한 기업은 7.9%에 불과하다. IoT 기업 10곳 중 7곳(69.4%)은 해외 진출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내수와 수출 간 간극도 크다. 지난해 IoT 분야 내수액은 6조6527억원이다. 수출액은 10분의 1도 안되는 5099억원에 불과하다. 그만큼 IoT 시장이 내수에 치중됐다는 방증이다. IoT 전문기업 관계자는 “국내 IoT 시장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공공사업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영세한 기업도 많아 해외 진출 역량이 부족한 편”이라고 밝혔다. 국내 IoT 기업 가운데 50인 미만 사업체가 81.3%다.

해외 진출 어려움은 시장 정보 부족 탓이 크다. 해외 현지 제품과 기술 격차는 거의 없다고 판단하지만, 판로 개척과 영업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본 역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이는 시장 진출 전제 조건인 현지 지식재산권(IP) 확보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IoT 특허는 4만여개 수준이다. 미국 특허 수 5528개를 크게 앞지른다. 그러나 속지주의를 따르는 특허 특성상 국내 특허는 해외 진출 시 무용지물이다. 글로벌 IoT 격전장으로 손꼽히는 미국 시장에서 특허 출원·등록과 관리 역량 확보가 시급한 이유다.

이를 위해서는 해외 특허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해외 시장을 분석하고 특허 출원·등록·관리 업무를 도맡을 전담 인력이 있어야 치열한 글로벌 IP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업계가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고 손꼽는 점이다. 전성태 한국사물인터넷협회 본부장은 “IoT 최대 시장인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일본·동남아시아 등에서도 IoT가 급부상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국내 시장에 머물러 있는 우리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여건은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규 시장 발굴과 현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각적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7년 IoT 기업 종사자 규모별 수출액

자료=한국사물인터넷협회

[4차 산업혁명 IP 경쟁력 분석]내수시장 편중된 IoT, 전문 인력 등 글로벌 진출 기반 닦아야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