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물가 인상 주범 낙인 '우유', 업체 간 상이한 행보 주목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우유를 고르는 소비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우유를 고르는 소비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우유, 남양유업 등 가격 인상을 단행한 우유 업체가 소비자 물가 인상 주범으로 낙인찍히며 속앓이를 하고 있다. 유업체 우유가격 인상은 낙농협회와 유가공협회가 '원유가격연동제'에 맞춰 원유 수매 가격을 인상한데 따른 것이지만 소비자 비난은 유업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가격 인상에 따른 업체 간 상의한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원유가격 인상 이후 서울우유와 남양유업, 삼양식품 등 유업계가 소비자가격을 인상했고, 외식업 프랜차이즈가 인상분을 받아들이면서 식품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앞서 낙농진흥회는 지난 7월 원유 수매 가격을 1ℓ당 922원에서 926원으로 4원 인상했고 서울우유는 8월 1ℓ당 3.6% 가격을 인상했다. 이후 남양유업은 11월 평균 4.5%가격을 인상했고 매일유업 등 타 유업체도 가격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유업계는 우유가격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원유가격이 올랐고 생산·물류비용 증가와 주 52시간 근무제도 도입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해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대부분 업체가 흰우유 사업부문에서 적자 또는 소폭 흑자를 내는 상황에서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호소한다.

하지만 원유가격 연동제에 대응하는 업체간 가격 변동폭과 행보는 차이를 보인다. 2년전 낙농진흥회가 원유값을 1ℓ당 18원 인하했을 때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은 판매가를 인하하지 않았지만 서울우유만 유일하게 흰우유 대표 제품 가격을 40원에서 최대 100원 인하했다.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고 원유가격 연동제 취지에 동참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서울우유는 이번 가격 인상에서도 용량 변화 없이 동일하게 가격을 인상했다. 전체 가격 인상폭과 100㎖ 단위 가격 환산시 인상폭은 3.6%로 같다. 반면 남양유업은 평균 인상폭 4.5%를 강조했지만 주력제품 1ℓ 제품은 900㎖로 용량을 줄여 100㎖ 당 가격 환산시 증감률은 9.8%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제과·제빵업계와 카페 등 식음료 사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우유가격 인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업체 간 다른 전략이 향후 시장에 미치게 될 영향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주현 유통 전문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