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라인' 18일로 미뤄진 광주형 일자리…임금·시간·경영 합의점 못찾아

현대자동차와 광주광역시가 당초 '데드라인'으로 잡은 국회 예산심의 마감일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을 18일까지 이어가기로 했다. 주요 쟁점인 임금, 노동시간, 기업 영속성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광주시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자체가 좌초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본사 (전자신문 DB)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본사 (전자신문 DB)

15일 현대차와 광주시에 따르면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투자유치협상단과 현대차는 지난 14일 오후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완성차공장 합작법인 설립'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현대차와 광주시는 광주형 일자리 4대 원칙인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노사책임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광주시는 지역 노동계와 합의를 통해 협상 관련 권한을 모두 위임받았다. 특히 임금과 근로시간에 대해 시는 주 40시간을 기본으로 사업장별 생산량 변동에 따라 1주 12시간 내에서 연장 및 휴일 근무하도록 하고, 현대차와 합작법인 설립 후 경영수지 분석을 거쳐 확정하기로 노동계와 합의했다.

하지만 현대차 측은 지난 3월 수립된 '노사민정(勞使民政) 결의안' 원안이 아니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결의안(원안)에 따르면 현대차와 광주시는 주 44시간 근무, 초임 평균연봉 3500만원으로 광주형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었다. 임금협상은 물가상승률만큼 인상하고, 처음 5년 간 근로환경이나 복지 등에 대한 단체협약을 유예하기로 했다. 경영 방식도 회사 전략에 따르고 원·하청 관계에 대한 별도 조항이 없었다.

광주형일자리 성공 투자를 위한 투자유치추진단 회의. (제공=광주광역시)
광주형일자리 성공 투자를 위한 투자유치추진단 회의. (제공=광주광역시)

신설될 완성차공장 합작법인의 지속가능성 부분은 신설 공장에서 위탁 생산할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QX1' 차종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경형 SUV는 수익성이 낮은데다 이미 국내시장이 포화상태로 광주형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불투명하게 한다. 광주시는 중장기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차종 생산으로 확대하거나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 변경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는 차종 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의 극렬한 반대, 민주노총 산하인 현대차 노조의 총파업 예고, 글로벌 자동차 시장 침체에 따른 현대차 실적 부진 등도 협상 악재로 작용했다.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와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송철호 울산시장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하며 적극 반대했다. 또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차지부 역시 광주형 일자리 협약 체결 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히면서 갈등을 더욱 고조시켰다.

하부영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현대차 생산직 노동자의 야근·특근을 제외한 기본급은 2800만원에 불과한데, 초봉 3500만원을 외치는 광주형 일자리는 접근 방식부터 잘못됐다”면서 “제대로 된 일자리가 아닌 정치적 압력에 굴복해 현대차가 광주에 10만대 추가 투자하는 것은 위기를 재촉하는 것이기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 광산구와 전남 함평 일대 407만㎡ 규모의 빛그린국가산업단지 조감도. (제공=광주광역시)
광주 광산구와 전남 함평 일대 407만㎡ 규모의 빛그린국가산업단지 조감도. (제공=광주광역시)

노동계와 업계는 국회 예산심의 마감일까지 현대차와 광주시가 합의점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광주형 일자리가 무산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광주 완성차 공장은 광주시가 7000억원을 들여 빛그린산업단지에 건립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금융권 차입을 제외하고 지분 참여자의 초기 투자금 2800억원의 19% 수준인 530억원가량을 투자할 예정이다. 하지만 광주시가 국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현대차 유치가 더욱 어려워졌다.

이병훈 부시장은 “오늘까지 협상하고 있지만, 난항을 겪고 있다”면서 “오는 18일까지 협상을 계속해서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류종은 자동차/항공 전문기자 rje31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