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관성·실효성 없는 통계청의 '4차 산업혁명' 통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내놓은 '4차 산업혁명' 관련 통계가 일관성·실효성이 부족, 논란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최초로 4차 산업혁명 대표 10개 분야를 제시하고, 신규 진출 기업 현황을 집계했다. 그러나 올해는 마땅한 근거 없이 4차 산업혁명 분야를 대폭 변경하고 지난해와 아예 다른 통계를 제시했다. 그나마 두루뭉술한 통계여서 활용도가 떨어진다.

전문가들은 통계청이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두고 정확하고 다양한 통계를 만들 것을 주문했다. 이대로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통계 데이터 허브가 되겠다”는 의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2017년 기준 기업활동조사 잠정 결과'에서 지난해와 다른 기준·결과 값의 4차 산업혁명 관련 통계를 제시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발표한 2016년 기준 기업활동조사에 4차 산업혁명 관련 통계를 처음 포함시켰다. 4차 산업혁명 분야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무인운송, 3D프린팅, 로봇공학, 나노소재, 바이오산업, 빅데이터, 청정에너지, 기타 등 총 10개를 제시했다. 민간이 아닌 통계청이 대표 4차 산업혁명 분야를 꼽은 것이어서 업계가 주목했다.

그러나 1년 만에 주요 4차 산업혁명 분야 절반이 바뀌었다. 지난해에 포함된 무인운송, 나노소재, 바이오산업, 청정에너지, 기타 분야를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 대신 클라우드, 모바일, 블록체인,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을 추가했다. 통계청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라고만 밝혔다.

통계청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은 정의 내리기가 어렵다”면서 “산업연구원 의견을 반영해 4차 산업혁명 분야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신규 진출한 기업도 집계하지 않았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최초 통계가 '1년짜리'로 마무리된 것이다. 그 대신 올해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개발·활용 현황'을 담았다. 1만2579개 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1014개(8.1%)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첫 발표 1년 만에 조사 대상과 내용을 전면 재조정할 정도로 사전 준비가 미흡했다는 점에서 통계청의 신뢰도 하락은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 벌어진 고용지표 논란에서 알 수 있듯 조사 기준은 통계의 신뢰도와 직결된다.

통계청은 신규 진출 기업만 집계해선 현실을 보여 주기 어려워 기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까지 포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통계 설계가 부실하게 이뤄졌음을 인정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발표한 통계도 여전히 부실하다는 반응이다. 통계청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판매하는' 기업과 '활용하는' 기업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다. 수출 등을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과 내부 업무 효율 제고를 위해 기술을 도입한 기업을 함께 집계했다. 통계로서 의미를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4차 산업혁명 정의가 불명확해 통계청이 시행착오를 겪는 것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선도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더욱 정확하고 다양한 통계로 기업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안형근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대기업은 각자 나름대로 4차 산업혁명 정의를 내리고 경영 활동을 하고 있지만 중소·중견기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면서 “정부가 관련 정의를 내려서 진흥할 분야를 제시하고 관련 통계 등으로 중소·중견기업 활동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