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여파, 600조 자영업대출 '뇌관' 부상

금리인상 여파, 600조 자영업대출 '뇌관' 부상

한국은행 금리 인상으로 자영업 대출과 다중채무자 부실화가 우려되면서 가계부채 새 뇌관으로 부상했다.

하위계층을 중심으로 소득이 감소하는 가운데 고용시장도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자 부담만 커질 경우 취약계층부터 서서히 연체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다. <관련기사 20면>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자영업대출 증가율은 은행이 10.8%인 반면, 상호금융 45.7%, 저축은행 41.3%, 여신전문금융회사 15.9% 등 제2금융권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금융권의 대출금리가 은행권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이 더 취약한 상황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 자영업대출 중 60대 이상 차주 비중이 2014년말 20.4%에서 올해 2분기 24.2%로 늘어났다. 베이비 붐 세대 은퇴가 자영업 창업 증가로 이어졌다는 해석이다. 이들은 다른 소득원이 없는 경우가 많아 본인이 영위하는 자영업이 실패할 경우 위기 가구가 될 가능성이 크다.

411만명에 달하는 다중채무자 역시 금리 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예상된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이들이 금융사에서 받아온 대출은 493조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은 다중채무자의 '부도 전염 효과'를 우려한다.

여러 금융권역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대출자의 경우, 한 권역에서 대출이 부실해지면 다른 권역에서도 빠르게 부실화되면서 도미노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을 감안할 때 부채 고위험가구가 34만6000가구(전체의 3.1%)이고 이들의 부채가 57조4000억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금리가 1%포인트(P) 상승하면 고위험가구가 38만8000가구(3.5%)로 늘어나는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향후 2금융권 연체율을 정부가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금리인상에 따른 역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전망이다. 신협과 농협 등 상호금융권 9월말 연체율은 1.56%로 1년 전 1.34%과 비교해 0.22%P 올랐다. 연체율 상승 폭으로 보면 은행의 두배에 달한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인 “이번 금리인상으로 이자영업자나 중소기업 등 차주는 내수경기가 꺾여 소득이 줄어드는 와중에 이자 부담이 커지면 상황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