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2019년, 수소경제 생산 늘리고 사용처 넓히고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수소가 태양광·풍력에 이어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 주역으로 자리 잡는 모습이다. 수소산업은 그동안 수소차, 수소연료전지 등 민간 차원 노력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 불과 몇 달 전에는 신재생에너지(REC) 가중치 축소 가능성을 두고 수소연료전지 업계가 긴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새 주축으로 수소를 주목하면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대전으로 결정된 수소산업전주기제품안전성지원센터 공모에는 8개 지자체가 몰렸다. 새해에도 신규 사업이 이어진다. 정부는 새해 초 '수소경제 로드맵'를 발표할 예정이다. 올해 에너지 분야 화두가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ESS)였다면 새해는 수소가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수립 중인 '수소경제 로드맵'은 생산과 저장·운송, 활용 등 수소산업 전반을 다룰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시장 확대에 맞춰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공급능력 확보에 주력한다. 석유화학 부생가스 형태로 수소를 얻는 것을 넘어 가스 개질을 통한 수소생산을 주요 수소 수급 솔루션으로 삼는다.

정부 새해 예산안에 따르면 3대 전략투자 수소경제 부문 주요 사업 및 예산은 기존 수소차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소 활용 방안 모색이 눈에 띈다.

내년도 정부 수소 정책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과기정통부는 기초혁신기술 개발, 산업부는 시범사업 및 안전기술 확보, 환경부는 보급 확대, 국토부는 공급 및 운송 인프라 관련 사업을 각각 담당한다.

첫 사업이라 할 수 있는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안전성 지원센터 유치 지역은 대전으로 결정됐다. 수소안전센터는 2021년까지 210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수소 생산, 운송, 저장, 충전, 사용 등 산업 전 주기 제품 개발과 안전 관련 시험·평가 기반을 수행한다.

새해 관심이 높은 것은 150억원 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이다. 수소 운송여건이 열악한 3개 권역을 선정해 가스배관망을 통한 수소생산 인프라를 조성한다.

현재 국내 수소생산인프라는 석유화학 부생가스 형태로 울산·여수·대산 정도다. 전국 단위 수소경제 정책사업을 벌이려면 이들 지역 이외에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거점이 필요하다. 정부는부생수소를 운송하기에 거리가 멀어 수소 수급에 어려움이 있는 지역을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사업은 전체적으로 독일 수소경제 모델을 따르고 있는 모습이다. △재생에너지 저장을 위한 가스 및 연료화 전환기술 △상용급 액체수소 플랜트 핵심기술 개발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철도 추진 시스템 기술개발이 대표적이다.

재생에너지 수소화는 향후 재생에너지가 크게 늘어난 시점에서 에너지 저장과 교환 시스템 차원에서 주목하고 있는 P2G(Power to Gas) 기술이다. 신재생에너지가 대폭 늘어나면 태양광 발전량이 많아지는 낮 시간 유휴전력을 활용해 물을 전기분해 수소를 생산하는 개념이다. 독일에서는 풍력발전을 통해 남는 전기를 가스연료(수소·메탄)로 저장하고 있으며 차량 및 수소열차 연료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4~5년차에 실증플랜트를 구축해 가능성을 시험한다. 액체수소 플랜트와 수소 하이브리드 철도 시스템 연구가 계획된 점을 감안하면 현재 우리 수소경제 계획이 많은 부분에서 독일 모델을 따라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친환경 수소연료 선박 R&D플랫폼 구축 사업도 있다. 차세대 친환경 수소선박용 수소연료 저장·공급 기술 등 3대 핵심기술 개발은 물론 성능 및 인증 시험설비 구축 등도 목표로 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수소선박이 대두되고 있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면 조선강국 입지를 되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수소 분야 주력이었던 수소차량은 대중교통에서 성장이 기대된다. 정부는 수소버스와 수소택시 등 수소 기반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대해 미세먼지 문제를 줄인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올해 11월 기준 738대가 보급된 수소차와 10개소가 운영 중인 충전소를 2022년까지 각각 1만5000대, 310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버스 노선과 택시 운송 특성을 고려해 충전인프라 여건이 유리한 지역부터 보급한다.

단기 목표는 가스 개질 기반 공급망을 구축하고 수소를 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초기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적어도 일본 수준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뒤따라오는 중국과 격차는 벌리기 위함이다. 일본은 현재 100여곳이 넘는 수소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2020년까지 160개 이상 충전소 구축을 추진한다. 우리나라에선 찾아보기 힘든 가정용 연료전지도 25만대가량 보급됐다. 중국도 최근 수소차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수소경제 추진을 위해 법령상 제도를 정비 중이다. 현재 수소경제 분야 3건, 수소 안전 분야 2건, 기타 개정안 1건 등 총 6건 수소관련 법안이 발의됐다. 이들 법안은 전문기업 육성, 특화단지 조성, 수소이용시설 특례, 수소경제 기반 조성 등을 담고 있다. 고압가스 적용 범위와 수소안전 관련 검토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수소경제 활성화라는 입법 취지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부는 로드맵이 나오는 시점에서 법제연구원을 통해 '수소 관련 법안의 합리적 제정·운용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예산 부분도 긍정적이다.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육성 계획을 밝힐 정도로 적극 나서면서 국회도 증액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다. 수소 산업 주도권을 위한 지자체와 기업 간 경쟁이 새해 치열해질 전망이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