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실도 카드결제"…디지털정산 시스템 추진

10일 열린 건전 아케이드게임 결제 수단 주제 토론회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전자신문DB)
10일 열린 건전 아케이드게임 결제 수단 주제 토론회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전자신문DB)

아케이드산업 발전을 위해선 디지털결제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게임물관리위원회가 10일 개최한 '건전 아케이드게임 결제 수단' 주제 토론회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이같이 진단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윤창옥 동서대학교 교수는 “아케이드산업 투명성 제고와 활성화를 위해선 자금운영 투명성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디지털 정산 프로세스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게임기기 결제, 정산 시스템을 디지털화하자는 요구다. 동전·지폐, 충전식·신용카드 결제 내역을 통합 관리하는 별도 서버 구축이 필요하다고 윤 교수는 밝혔다. 충전식 카드는 스마트폰으로 잔액을 보충할 수 있다. 현재 아케이드 게임기기는 현금만 받는다.

게임기기 표준화에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표준 부재로 기기 제작, 심의 과정에서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면서 “표준이 자리 잡으면 게임기기 개·변조와 같은 부작용이 줄고 수출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 역할에 대해선 “업계 자율성이 보장된 제도 개선 및 진흥정책을 펼쳐야 한다”면서 “아케이드게임 홍보관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아케이드게임의 산업적 가치가 재평가돼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아케이드는 조립·부품·콘텐츠·서비스·수출입·유통 산업과 연계돼 있다”면서 “일자리를 늘리고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패널 토론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아케이드산업 활성화 방안이 쏟아졌다. 게임 결과물을 저장하는 리뎀션 티켓을 허용해야 한다는 구체적 대안도 제시됐다. 박성규 한국어뮤즈먼트협회장은 “리뎀션 티켓이 안 되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면서 “아케이드 산업 활성화, 세계화를 위해선 규제가 반드시 풀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병훈 법무법인 해원 변호사는 정부 정책 손질을 당부했다. 그는 “여신전문금융업법, 게임산업법을 보면 신용카드 결제를 금지할 근거가 없다”면서 “사행성 게임을 제외한 건전 게임물에 대해선 전자결제를 허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디지털결제 시스템 도입에 대한 신중론도 제기됐다. 정제련 정책과평가 대표는 “개인정보 유출, 신용카드깡을 포함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전자결제 수단 오남용에 따른 위험요소도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행성 게임을 두고는 “아케이드게임과 연동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불법 환전으로 악용돼선 안 된다”고 경계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아케이드게임 세계시장 매출 규모는 올해 기준 35조9985억원이다. 같은 기간 온라인게임은 30조4388억원, 모바일게임은 60조3972억원이다. 아케이드게임은 복합놀이시설로 사업영역을 확대, 새 먹거리를 개척했다. 네트워크, 가상현실(VR) 기반 체감형 게임과 융합도 활발하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케이드게임이 힘을 못 쓴다. 전체 시장이 737억원에 그친다. 온라인·모바일게임은 각각 4조7821억원, 5조3143억원에 달한다.

좌장을 맡은 이승훈 영산대학교 교수는 정리 발언을 통해 “해외에는 가족 단위로 아케이드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많다”며 “정책 개선을 통해 아케이드 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재홍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은 “결제 수단 다양화라는 큰 틀은 정해졌다”며 “공론화 과정을 거쳐 산업계, 이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세부안을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정우채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 사무국장, 김진배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신지연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지향성평가팀 박사가 참가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