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2기 4차산업혁명위, 거수기는 안 된다

2기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10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큰 그림과 대응 원칙을 세워서 내년 상반기에 대정부 권고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범부처 차원에서 마련한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후속 버전을 마련, 건의키로 했다. 회의에서는 지능화 산업 혁신을 주제로 혁신 인재 양성, 미래 변화에 맞는 교육 혁신, 사회안전망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이어졌다.

1기 위원회 공과는 갈리지만 대체로 '부족' 평가가 나왔다. 모호한 정체성부터 옥상옥이라는, 별 성과가 없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위원회 위상과 역할을 감안할 때 2기는 1기와 확실히 달라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뚜렷한 구심점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선다. 이에 앞서 2기 위원을 선임했다. 8월 말로 1기가 끝났지만 차일피일 미루다 11월에야 구성을 마무리했다. 정부위원을 제외한 민간위원 19명 대부분을 교체했다. 우선 젊어졌다. 1970년대생이 주류이고, 1980년대생도 간간이 눈에 띈다. 위원장이 1973년생임을 감안하면 조직 운영과 의사소통이 더욱 수월해지고 젊은 감각의 파격 아이디어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의료·자동차·바이오·교육 등 각계각층에서 차출, 1기보다 훨씬 인적 구성 범위도 넓어졌다.

대부분 교수 출신이다. 아무래도 현장감이 떨어진다. 4차 산업혁명은 아직도 정의가 분분하지만 그래도 제조업이 중심이다.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산업 자체를 업그레이드하자는 게 목적이다. 산업계를 대변할 위원이 부족하다는 건 2기 위원회에 약점이 될 수 있다. 한마디로 알맹이 없는 위원회가 될 공산이 크다. 논의는 무성하지만 부처에서 올리는 주요 안건을 여과 없이 지지하는 거수기로 전락할 수 있다. 2기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혁명을 하려면 좀 더 현장 중심으로 다가서야 한다. 현장에 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