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부처 업무보고]산업부, 전기차·수소차 2022년 50만대 생산 목표

[2019 부처 업무보고]산업부, 전기차·수소차 2022년 50만대 생산 목표

정부가 4년 내 전기차·수소차 등 국내 친환경차 생산 비중을 7배 이상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 2022년까지 50만대를 국내 생산한다. 자동차 부품업계 유동성 위기 극복에도 3조5000억원 이상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세종정부청사 대회의실에서 2019년 정부업무보고를 갖고 새해 계획을 밝혔다.

당면한 제조업 위기를 극복해 경제 활력을 되찾자는 것이 취지다.

산업부는 미래먹거리로서 중요성이 높은 자동차 부품산업 투자와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수소차는 올해 923대에서 오는 2022년 6만5000대를 생산하고, 전기차도 올해 5만6000대에서 오는 2022년에 43만대를 생산할 예정이다. 전기차와 수소차 생산비중을 현재 1.5%에서 10%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관련 기반 시설도 늘린다. 수소차와 전기차 충전소를 오는 2022년까지 각각 310개소와 1만기까지 확충한다.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에도 2조원을 쏟아 중소·중견 기업이 미래차 시장에 진입하도록 지원한다. 전기차는 주행거리를 최대 600㎞로 늘리고 충전시간을 반으로 줄이는 핵심부품 기술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다. 수소차는 16만㎞인 내구성을 50만㎞로 끌어올린다.

GM 사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부품기업 지원을 강화하다. 정부·지자체와 완성차사 공동 출연금을 활용해 1조원 규모 신규자금을 순차 공급하기로 했다. 3년 고정금리로 중견기업도 지원 가능하게 자금 문턱을 낮췄다. 2·3차 부품기업을 중심으로 긴급 안정자금 1000억원을 지원하고 소진시 100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보증도 최대 1조원을 지원한다.

부품업계 일감확보와 소비 확산을 위해 승용차 신차구매시 개별소비세 30% 감면 기간을 새해 상반기까지 6개월 연장하고 전기차·수소차 보조금 예산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자동차·조선 등 고용효과가 큰 업종 부진이 심화되면서 제조업 전체 고용이 지속 감소하고 군산·대불 주요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 어려움이 가중된 데 따른 대책이다.

조선 분야에서도 자율운항선박, LNG추진선 개발과 스마트 K야드 조성 등에 1조5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글로벌화를 위해 연구개발(R&D)에 매년 1조원을 투자한다. 또 돌봄·재활로봇 등 서비스로봇 수요를 늘려 로봇산업을 육성키로 했다.

중소·중견기업 등이 밀집한 산단에 오는 2022년가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해 10개 산단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스마트산단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지역에서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 같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이 확산되도록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1분기까지 확산 모델을 만들고 인센티브로 참여 주체를 끌어들일 방침이다.

고용위기 지역에 대해서는 활력 회복 프로젝트로 오는 2022년까지 2만6000개 이상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무역 분야에서도 수출 6000억달러, 외국인투자 유치 200억달러 목표를 위해 산업혁신을 촉진한다. 무역보험을 155조원으로 늘려 내수·수출 초보기업을 지원하고, 외국인투자 인센티브를 개편해 5년 연속 200억 달러 투자 유치를 이끈다.

한미 산업협력 대화, 한·불 신산업기술협력포럼 등으로 자율차·바이오 등 미래신산업을 중심으로 미국·EU 등과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 자동차 232조 등 통상현안에도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이경민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