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3020' 신규 일자리 50만개 창출...급격한 전환에 우려도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에너지산업 육성을 주제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토론회가 열렸다.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에너지산업 육성을 주제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토론회가 열렸다.

'재생에너지 3020' 계획으로 에너지산업이 재편되면 2030년까지 50만개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조현춘 에너지기술평가원 본부장은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주최한 '3차 에너지기본계획 미래에너지산업 토론회'에 참석해 이 같이 전망했다.

재생에너지 3020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를 달성한다는 내용이다. 재생에너지 경쟁력 강화, 분산전원 기반산업 육성, 스마트시티를 통한 실증 등으로 구성된 에너지 신산업 육성방안을 담았다.

조 본부장은 재생에너지 산업에서만 적게는 11만명, 많게는 19만명 일자리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그린피스'와 '메이어 앤 소머'에서 사용한 고용계수를 적용한 수치다.

스마트에너지 산업에선 2030년까지 38만명 일자리 창출 가능하다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자료를 근거로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15만개, 건물효율 17만개, 전기차 3만개, 마이크로그리드 5000개 등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재생에너지 3020 달성을 위한 비전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서는 재생에너지가 정책기반 산업이 아닌 경제성을 갖춘 기반 산업으로 움직이고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자립형 분산전원으로 가야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측면에서도 에너지 이용자가 공급자 역할을 함께 하는 프로슈머 서비스 활성화를 주문했다. 에너지인터넷(IoE) 기반 국민 참여형 서비스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석유·가스 등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도 고효율로 저탄소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학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IT융합센터장은 에너지 산업이 주력산업을 뒤에서 지원하는 산업에서 신산업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정보기술(IT)이 뒷받침된 분산자원을 활용한 가상발전소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기반을 만들면 에너지가 신산업으로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욱 KT에너지플랫폼 상무도 전력기관이 데이터를 공유하면 전력 고도화가 이뤄져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했다. 현재 시장 구조에선 에너지전환 계획이 어려울 것이란 진단도 했다.

이수일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한전이 판매를 독점하는 현재 시장구조에서 에너지 프로슈머 활성화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며 “판매시장을 경쟁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격한 에너지 전환 계획에 대한 반발도 거셌다. 지속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석유·가스·원전 등이 미래 에너지 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급속한 산업 대체 시 기존 산업과 일자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현철 대한석유협회 상무는 “전기차나 수소차 증가로 수송연료로서 휘발유, 경유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경유 활용방법이나 R&D 투자 관련 대책, 주유소 사업자 전환 계획 등을 에너지기본계획에 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방청석에 앉은 섬유업계 관계자는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목표달성이나 전력량 확보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원자력뿐”이라며 “에너지산업 전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단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의견 수렴을 목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연속 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 5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소비구조 혁신' '에너지전환의 과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경민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