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안전 서비스, '민간-공공' 연계…사설업체에 신고하면 119센터도 공유

이르면 하반기부터 긴급 상황 발생 시 민간 보안업체와 112·119센터 등 공공 안전 기관이 데이터를 공유, 스마트시티 안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폐수나 악취를 감지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지역 스마트시티센터와 연동해 환경오염 사고 피해도 줄인다.

국토교통부는 올 상반기에 이 같은 스마트시티 서비스·시스템 실증 사업을 거친 후 하반기부터 지방자치단체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지자체는 검증을 마친 스마트시티 서비스와 시스템을 도입하고, 민간·공공 보안 서비스를 연계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112·119 등 개별 운용된 국가 안전 재난 체계와 지자체 폐쇄회로(CC)TV 관제센터(스마트시티센터) 등을 연계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구축·운영했다. △112센터 긴급 영상 지원 서비스 △112 긴급 출동 지원 서비스 △119 긴급 출동 지원서비스 △재난 상황 긴급 대응 지원 서비스 △사회 약자 지원 서비스 등 5대 안전 서비스를 제공했다.

지자체, 소방청, 경찰청 등 공공기관 간에만 정보를 공유했다. 올해 실증 사업을 마치면 스마트시티 보안 부문에서 처음으로 민간까지 공유 영역을 확장한다.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개념도. 자료=국토부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개념도. 자료=국토부

민간·공공 연계 보안 서비스가 도입된 지역에서는 도둑이 들거나 가스 누출이 의심돼 민간 보안업체에 신고하면 집 안 카메라 등 비상 상황 데이터가 112·119센터와 공유된다. 민간과 공공 안전 기관 협력 아래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정부는 최근 관련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올 상반기에 대전시, 세종시에서 실증 사업을 한다. 실증이 끝나면 하반기부터 지자체가 통합 플랫폼에 민간·공공 연계 보안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연계 비용은 지자체가 부담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가스 등 위험시설물 보호 지원 서비스와 스마트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도 올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에 추가한다.

위험물 보호 지원 서비스는 주택가·학교 등에서 안전사고 발생 시 위험시설물 관리자에게 상황을 전파, 밸브 잠금 등 보호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서비스다. 2차 사고를 예방하고, 일반 시민의 신속한 대피를 돕는다. 악취와 폐수를 감지하는 센서도 스마트시티센터와 연계, 환경오염 사고 발생 시 빠르게 원인을 찾아 오염원을 제거하도록 지원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매년 3~4개 서비스를 개발해 실증하고, 이를 지자체가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탈북자, 여성 등의 신변 보호나 외국인 관광객 도우미 등 운용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