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뜨거운 감자...'원전해체연구소' 어디에, 어떻게 세워지나

[이슈분석]뜨거운 감자...'원전해체연구소' 어디에, 어떻게 세워지나

향후 원전해체 분야 상용화 기술 개발을 이끌 '원전해체연구소'에 각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곧 드러날 연구소 윤곽이 지자체와 산업계, 연구계 초미 관심사로 떠올랐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의 파장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연구소가 들어서는 지역은 원전해체 산업을 이끌 국내 중심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입지로 거론되는 곳이 모두 원전 소재지여서 탈원전 정책으로 위기를 맞은 지역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산업계와 연구계에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연구소 형태에도 큰 관심을 쏟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3월께 입지와 형태에 대한 윤곽을 내놓을 계획이다.

원전해체연구소는 가동을 멈춘 원전을 해체하는 데 활용할 필수 핵심 기술을 상용화하는 곳이다. 고리 원전 1호를 시작으로 가동 정지 원전이 계속 늘어날 전망이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는 세계 곳곳에 국내 원전해체 기술 기업이 진출하는 기반이 된다.

과거 한 차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설립이 무산된 연구기관이지만, 2017년부터 다시 설립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문재인 대통령이 고리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 석상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공언했다. 이후 산업통상자원부가 관련 업무를 맡아 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아직 연구소가 어디에, 어떻게 세워질지는 알 수 없다. 구체화된 설립방안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산자부는 오는 3월 '원전해체산업 육성 종합전략'을 도출해 원전해체연구소 관련 제반 사항을 논의한다.

원전해체연구소에 대한 최대 관심사는 입지다. 문 대통령은 발언 당시에 “원전 해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동남권 지역에 관련 연구소를 설립하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권역만 밝혔을 뿐 정확한 지역은 언급하지 않아 경북(경주), 부산, 울산 등 지자체가 각기 원전해체연구소 입지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경상북도와 경주는 가장 많은 원전이 위치한 지역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경주에는 월성·신월성 원전 여섯 기가 위치해 운전 중이다. 울진에도 한울 원전 여섯 기가 있다. 앞으로 원전해체 업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비롯해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도 경상북도에 자리를 잡고 있다. 원자력 관련 학부를 운영하는 포스텍과 원자력 마이스터고도 경북에 있다.

부산에는 국내에 처음 건설된 고리 1호가 기장군에 위치해 있다. 고리 1호기 해체 문제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논의가 촉발되고, 고리 1호기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어 부산에 연구소가 들어서는 것이 마땅하다는 입장이다. 부산은 기장에 방사선의과학산업단지와 같은 산업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울산도 신고리 원전이 있는 원전소재지로, 원자력 학과를 운영 중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있어 관련 연구개발(R&D) 기능을 갖췄다. 경주와 부산 사이에 위치해 다른 원전에 대한 접근성도 뛰어나다.

부산과 울산은 한때 양 지역 접경지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유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전선' 구축을 검토하고, 창원시에서도 유치에 관심을 가지는 등 지자체간 물밑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이름을 밝히지 꺼린 지자체 관계자는 “동남권에서는 곧 윤곽이 드러날 원전해체연구소 입지가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지역 유치 당위성을 적극 어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계와 산업계에서는 원전해체연구소가 어떤 형태가 될지 관심이 높다. 우선 원전해체연구소는 한국수력원자력 산하 연구기관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주로 나온다. 한수원 산하 연구기관화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설명이다. 원전 운영자인 한수원이 향후 실제 원전해체 사업에 큰 영향력을 끼칠 전망이고, 산하 연구원을 통해 원전해체 상용화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이유다. 한수원은 공기업인 만큼 연구기관 설립 과정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 같은 독립 연구법인 설립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한수원은 공기업이지만 이곳 산하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는 것보다 독립된 기관으로 두는 것이 공익에 유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희령 UNIST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지금으로선 한수원 산하 연구기관, 독립 연구법인 어느 형태가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각기 장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현재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관련해 아직 확실한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연구소 입지는 공모 방식과 직접 지정 방식 중 어느 것이 적합한지 고심 중이다.

향후 과열양상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소 형태 역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가장 효율적인 운영에 초점을 맞춰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신희동 산업부 원전산업정책관은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기관으로, 어떻게 하면 산업과 연구 중심 역할을 잘할 수 있을지 다양한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며 “오는 3월에는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표> 원전해체연구소 입지 희망 지자체(가나다 순)

<표>국내 원전 현황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이슈분석]뜨거운 감자...'원전해체연구소' 어디에, 어떻게 세워지나

[이슈분석]뜨거운 감자...'원전해체연구소' 어디에, 어떻게 세워지나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