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뛰어들며 국산 드론 경쟁력 커진다

대기업 뛰어들며 국산 드론 경쟁력 커진다

드론 모터 사업에 시동을 건 LG전자뿐 아니라 두산, 한화, 대한항공 등 다양한 국내 대기업이 소프트웨어·부품부터 완성품까지 드론 관련 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대기업 가세로 한국 드론산업 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두산 자회사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최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드론쇼 코리아 2019'에서 2시간 이상 비행을 가능케 하는 드론용 수소연료전지팩과 이를 탑재한 드론을 공개했다. 이외에도 드론 원격조종 비행 솔루션, 드론 활용 시설 점검 등 다양한 기술을 확보했다. 대한항공은 이미 군사용으로 연대급 드론을 공급해왔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다수 드론과 로봇을 제어·통제하는 지휘통제시스템을 공개했다. 배터리 한계를 극복하는 드론용 무선 충전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대기업은 드론 산업 진출에 머뭇거렸다. 대기업 드론 사업 담당자들은 충분치 않은 시장, 불안정한 기술 수준 등 시장 자체가 대기업이 뛰어들기에 부족했던 점이 진출을 가로막은 가장 큰 이유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성장 초기 바탕이 될 국내 시장 규모가 미미하다. 국토부가 2017년 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드론시장은 7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국내 드론 시장 중심인 공공시장에서 완제품 납품이 제한되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드론은 지난해부터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됐다.

한 대기업 드론사업 담당자는 “드론 규제가 장애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 상황만 받쳐주면 못 뛰어들 정도는 아니었다”면서 “시장 크기가 작고, 아직까지 기술 안정성이 떨어지는 점이 진출을 더디게 했다. 완성품은 더 심하다. 드론이 떨어지면 기업 신뢰성이 크게 훼손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드론 활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대기업 진출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산 중심 전체 시장 판도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막대한 자금력과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대기업이 진출하면 상용화를 앞당길 뿐 아니라 시장 크기 자체를 키울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은 우수한 촬영 기술력과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DJI가 80%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했다. 국내도 마찬가지다. 한국드론산업진흥회가 2018년 1월까지 총 77곳 공공기관 대상으로 조사한 '공공용 무인항공기 수요 현황'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보유한 드론 모델 78종 가운데 중국에서 개발된 드론이 44종으로 1위를 차지했다. 국산은 15종에 불과했다.

모터, 센서 등 부품도 중국산 공세가 강했다. 국내 드론 제조사도 부품을 대부분 중국에서 사와 '껍데기만 남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러나 드론은 단순 촬영에서 농업, 시설 점검, 건축, 배송·운송 등 응용 분야가 급증하고 있다. DJI가 지배하던 기존 드론 시장은 일부 영역에 불과해진다. 그 이외 시장이 커지면서 대기업이 뛰어들 여지가 늘어났다. 기존 리튬이온 기반 배터리로는 비행시간이 10~30분에 불과한 것처럼 부품 영역에서 혁신도 요구되고 있다.

최근 막을 내린 CES 2019에서도 사람을 나르는 드론 '플라잉카'가 대거 등장했다. 이미 아마존, 인텔, 우버, 에어프랑스, 등 다양한 산업영역에 속한 글로벌 기업들이 신성장 동력으로 드론을 점찍었다. IBM과 퀄컴도 다양한 드론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국내외 드론 특허를 다수 출원해왔다. 국내에서도 공공 수요 중심으로 측정, 측량, 치안, 배송 등 다양한 영역에 드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향후 부품에서 쌓은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완제품 시장까지 진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기업 드론사업 담당자는 “DJI를 필두로 국내외 여러 제조사가 이미 진출한 상황에서 완제품보다 부품쪽이 초기 사업화에 유리하다”면서 “그러나 장기 비행과 비행 신뢰성이 확보되고, 다양한 활용 영역이 생겨나면 대기업이 군사 이외 영역에서도 완제품, 서비스 등 사업에 뛰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