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광주형 일자리 타결, 향후 전망과 과제는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타결되면서 현대자동차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위탁생산 체계를 갖추게 됐다. 자동차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손잡은 첫 사례인 만큼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도 많다.

가장 큰 걸림돌은 현대차 노조의 거센 반발이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타결 소식에 즉각 긴급 성명서를 내고 대회사를 넘어 대정부 투쟁 방침을 밝혔다. 먼저 현대차 노조는 확대간부 파업을 시작으로 광주시청에서 비상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후에도 기아차 지부, 민주노총 등과 공동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생산라인 모습.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생산라인 모습.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가 자동차 산업 몰락과 노동자 구조조정을 촉발해 고용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만약 노조가 총파업을 이어가며 강경한 태도를 고수할 경우 현대차는 생산 차질 등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나 현대차가 광주공장 경영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 지자체 주도 광주형 일자리에 대해 노조가 반대하는 명분이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임금 저생산성에 대한 현대차 노조의 비판 여론이 만만치 않다는 점도 노조 입장에선 부담이다.

일각에서는 이런 이유로 노조가 대규모 불법 파업을 강행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광주형 일자리 타결을 향후 노사 임단협 등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협상 카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노조 반발 외에도 본격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지자체와 기업 간 운영 방식이나 의사결정 구조가 달라 구체적인 사업 논의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대차는 주요 주주로 생산과 경영진 인선 등 경영 일부 과정에만 관여한다.

공장 가동률 등 생산 효율성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국내외 대다수 자동차 기업들은 한 공장에서 최소 2~3개 이상 차종을 함께 생산한다. 그러나 광주공장이 확보한 생산 물량은 현대차가 개발할 배기량 1000㏄ 미만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1개 차종에 불과하다. 예정대로 연간 10만대 규모로 생산하더라도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대차 역시 인건비를 줄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면서 경차 라인업을 보강할 수 있다고 판단해 광주형 일자리에 참여했으나, 신차 판매량은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국내 경차와 소형차 시장 수요가 계속 줄어드는 가운데 신차가 기존 시판 중인 경차, 소형 SUV와 판매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광주공장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추가 물량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SUV 인기로 인해 승용차 위주 경차 판매가 감소하고 있지만, 현대차는 광주공장에서 만들 신차를 통해 경형 SUV라는 신시장을 개척하고 경차 시장 외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국내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SUV로 신차를 개발해 승용차 중심 경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차 수요를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정치연 자동차 전문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