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반 대통령기록물 통합시스템 구축한다

정부가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대통령기록물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 대통령 기록 생산부터 관리·보존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차세대 시스템을 구현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가기록원 중심으로 올해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 과제의 하나인 대통령기록물 관리 체계 혁신을 시작한다. 올해 정보화전략수립(ISP)을 시작으로 오는 2022년까지 시스템 고도화, 19대 대통령기록물 이관을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대통령비서실 등 대통령 기록 생산 기관, 국가기록원 등 유관 기관과 긴밀한 협조 체계를 갖춘다. 대통령 기록 생산, 이관, 보존, 활용에 이르는 관리 전 주기 프로세스를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기록물 생산 환경 변화에도 통합 관리가 가능한 체계를 만든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현행 시스템은 대통령 기록 생산·관리 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대통령별 청와대 업무·기록 관리 시스템이 달라 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16대 e지원, 17대 위민, 18대 BH_온나라 업무 시스템을 각각 사용했다. 기록 생산 시스템도 16대는 BH_RMS1, 18대는 BH_RMS2를 각각 활용했다.

행정 기관 전자문서시스템 규격 표준 개발 전후로 전자기록생산시스템도 달라져 관리·보존·호환이 어렵다. 대통령 기록 생산 기관 업무관리시스템 변경으로 현행 이관 규격과 보존 포맷 형식, 시스템 구조에서는 기록물 이관이 불가능하다. 특히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은 2007년 비표준 프레임워크로 개발된 노후 시스템으로, 기능 개선에 한계가 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기록물 검색 정확도를 높이고 대통령기록 디지털 아카이빙(파일 보관)을 위한 발전 방향을 세우는 등 올해 안에 ISP를 도출할 생각”이라면서 “ISP 결과를 토대로 문재인 대통령 임기 안에 차세대 대통령기록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클라우드, AI, 빅테이터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효율적 전산 자원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기록관리·서비스 영역을 발굴한다. 디지털 기반 대통령기록물 시스템을 구축, 정확한 데이터 기록과 관리는 물론 다양한 열람 수요와 서비스 기대 수준에 부응한다는 계획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대통령 기록 관리 체계도 마련한다. 대통령 업무 활동과 대국민 소통을 위해 SNS 활용도가 높아졌지만 관련 관리 체계가 부재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도 소셜미디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등 SNS 아카이브를 별도 구축하는 게 세계 추세다.

대통령기록물관리법 개정 시 변하는 내용 관련 업무 처리를 위한 기능도 구축한다. 정부안으로 발의된 개정안에는 대통령기록물을 효율적으로 보존·열람하고 활용하도록 체계 확립 근거를 세웠다. 전직 대통령 열람 등 현행 제도와 시스템 운영상 나타난 미비점도 보완한다.

사업 규모는 1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참여정부 e지원 시스템 구축 당시 예산이 약 100억원 소요됐다. 신기술을 활용하는 만큼 대기업 참여 제한 예외 인정 사업이 될 가능성도 있다.

데이터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시스템 도입은 기록물 이관 편의성과 활용을 고려해 추진돼야 한다”면서 “전직 대통령 기록물 가운데 지정기록 등은 공개되지만 직접 가서 확인해야 하는 등 활용은 원시적인 방법을 고수, 데이터 활용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