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환자 삶의 질 개선, 고식적 항암치료 효과 증명"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좌), 김진원(우)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좌), 김진원(우) 교수.

위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항암치료를 통해 완치될 수 있다. 초기 단계를 지난 전이성 위암은 대부분 수술로 완치가 어렵다. 이때 질병 완치가 아닌, 암 진행속도를 늦춰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명 연장을 목표로 시행하는 치료가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이다.

1차 고식적 항암치료 중 항암제에 내성이 생기면 2차 항암치료로 변경한다. 환자 전신 상태가 치료를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면 항암치료를 중단하고 남은 삶의 기간 동안에는 증상 완화치료만 시행한다.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위해 고식적 항암치료 권고안이 마련됐다. 실제 적용되는 치료는 환자의 개별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국가별로도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근욱·김진원 교수팀이 국내 전이성·재발성 위암 환자가 받는 1차 고식적 항암치료 치료 적용 패턴과 환자 삶의 질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대규모 전향적·다기관 관찰연구로 1차 고식적 항암치료 예정인 527명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을 포함한 국내 26개 병원에서 시행한 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93.2% 환자(491명)에서 위암 1차 고식적 항암치료로 두 가지 약제(백금화합물·플루오로피리미딘) 복합 요법이 사용됐다. 고식적 항암치료 권고안에서 권유되는 치료와 일치함을 확인했다.

또 1차 항암치료 시작 후 질환이 악화되지 않은 중간 무진행 생존 기간은 8.2개월, 전체 생존 기간은 14.8개월로 위암 임상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연구진은 1차 고식적 항암치료가 시행되는 동안에 삶의 질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하고자 3개월 단위로 환자 신체·역할 기능을 비롯해 감정 기능, 피로감 등 24가지 항목을 측정했다.

항암치료가 시행되는 동안 전반적으로 환자 삶의 질은 심한 손상 없이 가벼운 변화만 보였고, 일정 기간은 항암치료 전보다 상당 부분 호전된 상태를 유지했다.

이근욱 교수(교신저자)는 “항암치료를 시행했을 때 우려되는 점은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삶의 질 저하”라면서 “전이성 위암에서 삶의 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항암치료임을 명확히 확인한 것이 이번 연구의 큰 의의”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한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와 치료(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근호에 발표됐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