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2020년 전기이륜차 20만대…'배터리 공유' 각축전

대림오토바이 전기이륜차 재피.
대림오토바이 전기이륜차 재피.

전기이륜차 생태계가 빠르게 커지고 있다.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다.

현재 도로 위를 달리는 전기이륜차 수는 1만대가 채 안 된다. 2020년이 되면 20만대로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이륜차 시장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다만 변수가 있다. 충전 인프라 확보가 관건이다. '배터리공유스테이션(이하 스테이션)'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배터리를 수시로 교환할 수 있는 자판기 형태 시설이다. 정부는 물론 국내외 민간 업체가 스테이션 구축 사업에 매달리고 있다.

◇스테이션 확대, 업체 10여곳 '의기투합'

스테이션 사업에 나선 국내 업체는 10여곳 안팎이다. 대림오토바이 오토스원, CJ대한통운이 가장 적극적이다. 삼성SDI와 KT, GS칼텍스도 뛰어들었다.

업체별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대림오토바이는 국내 유일 이륜차 제조기업이다. 40년이 넘게 이륜차 개발에 집중해 왔다. 지난해 8월에는 첫 전기이륜차 '재피'를 선보였다. 고효율 리튬이온 배터리와 국내 주행에 최적화된 모터를 적용했다. 주행성능과 내구성에 대한 검증은 끝났다. 스테이션 표준화도 주도할 목표다.

해외시장을 상대로 스테이션 구축 실적을 확보한 곳도 있다. 오토스원이 최근 필리핀 진출에 성공했다. 스테이션 국산화율이 80%에 달한다. 소모품만 중국산을 쓴다. CJ대한통운도 발빠르게 움직였다. 관련 업계와 컨소시엄을 구성, 이르면 올 하반기 스테이션 사업을 시작한다.

삼성SDI도 참전했다. 배터리 기술력을 앞세워 스테이션 확산에 힘을 보탠다. 삼성SDI는 견고한 각형 배터리 구조와 혁신적이면서도 안정적인 팩 설계 기술을 확보했다. 미국 유명 모터사이클 회사 할리데이비드슨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이들 기업 모두 지금은 아군이다. 전기이륜차 시장이 이제 막 태동한 단계이기 때문이다. 시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고민을 함께한다. 기술적 한계 극복에도 협업이 필요하다.

기존 전기차 충전소와는 구조 자체가 완전히 다르다. 스테이션에는 크게 다섯 가지 이상 요소기술이 들어간다. 네트워크(통신), 전력·전자, 전기 회로, 배터리 분야가 포함됐다. 스테이션 내부 구조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알아야 한다.

설비 진단 후 에러 코드를 서버로 보내는 작업도 이뤄진다.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서 들어오는 충전상태(SOC) 값을 안정화하는 기술도 요구된다.

대구시가 추진하는 배터리 교체형 전기이륜차 디자인.
대구시가 추진하는 배터리 교체형 전기이륜차 디자인.

◇표준화 선점 경쟁…주유소와 달라

스테이션이 자리 잡은 후에는 표준화 경쟁이 불붙는다. 국내 5대 정유사 주유소는 차량, 이륜차 종류를 가리지 않고 받는다. 차에 기름이 떨어지면 전국 어느 주유소에서도 연료를 채울 수 있다.

반면 전기이륜차는 제조사가 정해준 배터리만 장착 가능하다. 배터리는 전력 공급 외 다양한 역할을 맡는다. 데이터 통신이 이뤄지도록 한다. 배터리 SOC 값, 잔량을 속도계에 보내준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과도 정보를 주고받는다.

제조사별 이 같은 시스템 운영 방식이 천차만별이다. 전기이륜차 배터리와 운영 방식 표준화가 시급한 이유다.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배터리 대역에 대한 교통정리가 불가피하다. 배터리는 현재 48·60·72V(볼트)로 나뉜다. 스테이션을 통해 세 가지 대역을 전부 감당할 순 있지만, 많은 대역을 공급할수록 에너지 효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20% 가까이 충전 요율이 떨어질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전기차 대상 급속·완속 충전기는 대부분 고전압 하나를 쓴다. 그런데도 충전 요율은 100%가 아니다. 정부는 95%만 넘기면 안정적인 것으로 본다.

스테이션 내 배터리를 얼마나 둘지도 숙제다. 지역·배터리 대역대별 전기이륜차 충전 수요를 파악해야 한다.

정부도 민간 노력에 호응한다. 에너지기술평가원이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도 배터리 공용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표준화가 언제 이뤄질지는 알 수 없다. 2030년이 넘어갈 수도 있다. 지금은 전기이륜차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업계는 표준을 기다리지 않는다. 전기이륜차, 스테이션 시장을 동시에 키우면서 표준을 준비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친다. 임시 허가 제도를 활용, 시범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테이션 인프라 선점 업체가 표준 주도권을 쥘 것”이라며 “업체 간 절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가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배터리공유스테이션 국내 업체 참가 현황

(자료=업계 취합)

[표]대림오토바이 '재피' 스펙

(자료=대림오토바이)

[이슈분석]2020년 전기이륜차 20만대…'배터리 공유' 각축전

[이슈분석]2020년 전기이륜차 20만대…'배터리 공유' 각축전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