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인수전' 넷마블·카카오 2파전 유력

성남= 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성남= 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매각규모가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초대형 인수합병(M&A) '넥슨 인수전'에 넷마블, 카카오, 외국계 사모펀드(PEF)가 예비입찰에 참여했다. 도이치증권 등 주관사는 일단 컨소시움을 배재하고 단독입찰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넷마블과 카카오, PEF 사이 다양한 합종연횡이 예상된다.

21일 게임업계와 투자은행에 따르면 NXC 지분 매각예비입찰 마감일에 넷마블, 카카오를 비롯해 국내 PEF MBK파트너스, 미국계 PEF인 베인캐피털과 블랙스톤 등이 참여했다. 넷마블은 MBK, 카카오는 한국투자증권 등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을 계획으로 알려졌다.

NXC는 일본에 상장된 넥슨 지분 47.98%를 가진 최대주주이자 넥슨 지주회사다. 10여개 계열사를 보유했다. 이번 매각 대상은 창업자 김정주 대표와 부인 유정현 NXC 감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NXC 지분 100%다.

카카오는 게임 사업 강화 측면에서 카카오게임즈 기업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게임즈는 한국투자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해 작년 IPO를 추진했으나 회계감리 지연 등 이유로 취소했다. 올해 재추진 계획을 세웠다. 넥슨을 인수할 경우 수익성과 게임 개발 역량을 모두 한 단계 높일 수 있어 IPO 시 기업가치가 크게 불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카카오는 인수에 필요한 현금마련이 걸림돌이다.

넷마블은 모바일게임사업을 PC까지 확장하고 '던전앤파이터' 등 넥슨 주요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할 수 있다.

우호적이지 않은 넥슨과 관계가 변수다. 넷마블은 2015년 넥슨과 경영권 분쟁을 겪는 엔씨소프트와 지분을 교환하며 사실상 백기사 역할을 했다. '서든어택'을 둘러싼 반목도 있었다. 당시 서든어택을 서비스하던 넷마블은 재계약 과정에서 서든어택 개발사 게임하이(현 넥슨지티)를 인수한 넥슨과 감정싸움에 가까운 갈등을 겪었다. 서든어택은 결국 넥슨이 서비스권을 가져갔다.

넷마블이 넥슨을 품에 안으면 국내 게임산업 구조 재편은 불가피하다. 소위 빅3라 불리는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삼두체제에서 넷마블이 규모면에서 원톱이 될 가능성이 높다.

넥슨과 넷마블 지난해 매출을 합치면 4조5509억원이다. 엔씨소프트(1조7151억원), 펄어비스(4043억원), 컴투스(4818억원), 더블유게임즈(4830억원), 네오위즈(2155억원), 웹젠(2189원), 위메이드(1271억원), 게임빌(1125억원), 조이시티(862억원), 선데이토즈(861억원), 데브시스터즈(365억원), 조이맥스(288억원)를 다 합쳐도 4조원이 채 안 된다. 넷마블이 전체 산업규모를 압도할 만한 규모로 커진다.

PEF가 넥슨을 인수할 때도 변화는 불가피하다. 신작 개발비용 등 비용을 줄이기 위한 대규모 구조조정과 수익률 극대화를 위한 클래식 게임 서비스 중지 가능성이 있다.

던전앤파이터 등 수익성이 높은 게임 중심으로 이익을 끌어올려 높은 벨류에이션으로 되팔 것으로 예상된다.

PEF들은 NXC를 인수한 뒤 일본에 상장한 넥슨을 한국 증시나 미국 나스닥 등으로 이전해 수익률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 상장한 넥슨 주가수익비율(PER)은 20배 미만이다. 국내 증시에서는 게임업체가 PER 30배가량에 거래된다.

인수가 불발될 가능성도 있다. 10조원 이상으로 평가되는 매각대금이 PEF간 경쟁 과열로 껑충 뛰거나 실사과정에서 적당한 인수자가 없으면 매각이 아예 안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넷마블과 카카오가 넥슨 인수에 참여하며 텐센트 역할론이 부상한다. 텐센트는 넷마블 3대주주, 카카오 2대 주주다. 텐센트가 이번 예비입찰에 참가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분을 가진 두 회사가 참여한 만큼 어떤 식으로든 넥슨 입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