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실학회 거름망 촘촘히 한다...가이드라인 사이트 구축해 연구자정보시스템과 연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연구자 집단지성을 활용한 부실 학회 거름망을 만든다. 연구계가 스스로 학회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이를 연구비 관리시스템과 연계한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부실 학회 대응력을 높이고 허점을 드러낸 검증 체계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기계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최근 '학술단체 종합 정보 사이트'(가칭) 구축을 위한 실무 작업에 들어갔다.

사이트는 연구계 스스로 부실 학회 정보를 제공, 공유하는 공간이다. 연구자는 학술 단체가 개최한 학회, 행사 등에 참석한 뒤 관련 정보를 공유한다. 국내외에서 부실한 것으로 지목된 단체의 출판, 학회 정보 리스트도 지속 업데이트한다. KISTI가 사이트 구축을 담당하고 과총은 부실 학회 검증, 리스트 제공 등 콘텐츠를 제공하기로 기본 틀을 잡았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9월 새롭게 열리는 통합 연구비관리시스템과 사이트를 연계 운영할 방침이다. 통합 연구비관리시스템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참석한 학술 행사의 주최, 세부 행사명 등을 기입하도록 개편한다. 연구비관리시스템상 학회 참석 정보와 학술 단체 사이트에 오른 부실 학회 리스트를 연계, 관리한다는 그림이다.

기존엔 연구자가 해외 출장을 나가더라도 연구비관리시스템에 주관 기관, 세부 행사명 등을 기입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연구자 학회 참석 동향은 물론 부실 학회 참석 여부 파악에 어려움이 따랐다.

최근 정부의 부실 학회 검증 체계에서 이 같은 허점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조동호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의 부실 학회 참석 이력이 지난해 실시한 정부 조사는 물론 청와대 검증 과정에서도 걸러지지 않았다.

KAIST에서 조 후보자가 참석한 학회 리스트를 갖고 있었지만 부실 학회 여부를 검증하지 못했다. 애초 참석 학회 정보를 허술하게 기입한 데다 이를 일일이 부실 학회 리스트와 대조하는 과정에서 구멍이 생겼다. 현재 학회 참석 정보 수집 방식으로는 물리적으로나 정보 질 측면에서 정확한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연구계가 자율적으로 학회 부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취지”라면서 “통합 연구비관리시스템과 부실 학회 가이드라인 사이트를 연계 운영하면 앞으로 부실 학회 참석 동향 또한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호 정책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