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문 대통령,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되살려야

문재인 대통령이 4차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강력한 추진 의지를 재천명했다. 15일 주재한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북한의 여건이 갖춰지면 장소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마주 앉겠다고 밝혔다.

일부 야당에서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가진 한·미 정상회담을 놓고 '노딜'이라는 혹평이 나오는 것과 관계없이 자신이 구상한 길을 가겠다는 뜻이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이 3차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도 미국 방문의 성과로 꼽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북·미 대화는 지난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추진 동력이 약화된 상황이다. 비핵화 방식을 둘러싼 미국과 북한의 간극이 확인된 이후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고질적인 외교안보 리스크가 되살아날까 걱정이 많다. 김 위원장이 “미국식 대화법에는 체질적으로 맞지 않고, 흥미도 없다”고 강조한 대로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북한의 대처법은 여전히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북·미 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한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올해 들어 시원치 않은 것도 우려된다.

우리 경제는 지금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일자리와 투자가 되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버팀목 역할을 해 오던 수출도 지난해 말 이후로 내리막길을 달리고 있다.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이 예년만 못하다. 경제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북한'이라는 돌발 변수가 영향력을 키우는 것은 우리 기업과 산업에 좋지 않은 시나리오다.

다행히 지난 주말 사이 김 위원장이 3차 정상회담 운을 띄웠고, 트럼프 대통령은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되받아 남북 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지만 그렇다고 멈출 수는 없는 일이다. 북·미 협상 중재 성과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그 자체로 안고 가면서 실마리를 풀어 가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