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심각한 '모바일 디바이드' 대책 시급

[사설]심각한 '모바일 디바이드' 대책 시급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는 70대 이상 노인이 10명 가운데 1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70대 이상 응답자 가운데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최근 3개월 이내에 이용했다는 응답자는 6.3%에 불과했다. 30대 87.2%, 40대 76.2%가 '이용했다'는 응답과 크게 대비된다. 50대까지 51.0%로 과반을 유지했지만 60대에선 18.7%로 떨어지는 등 연령대가 높아갈수록 이용률은 급감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을 이용한다는 70대 이상 노인은 0.1%로 거의 없었다.

노년층이 디지털 서비스에서 소외된다는 이야기는 어제 오늘 나온 것이 아니다. '디지털 디바이드'로 불리는 디지털 격차가 지식이나 소득이 아니라 세대에 따라 크게 갈리는 현상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디지털 기기와 서비스에는 둔감해진다. 일정 수준의 디지털 디바이드는 감내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노년층 이용 수치가 청년과 장년에 비해 지나치게 차이가 난다면 심각하게 봐야 한다. 70대 이상 모바일 서비스 이용률이 채 6%에 불과하다면 당장 대책이 필요한 사회 문제다. 60세를 넘어서면서 급격하게 이용률이 떨어지는 현상은 디지털 복지 정책에 구멍이 났다는 이야기다. 갈수록 고령화가 빨라지는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드 현상을 방치하면 사회적 갈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 더욱이 금융서비스는 우리 생활과 밀접히 관련돼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70대 이상 고령층의 58.8%가 '모바일 금융 서비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설문 결과지만 그만큼 각종 모바일 서비스가 취약 계층을 배려하지 않는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기술 이해와 활용 능력을 기르는 체계적인 모바일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기업 입장에서도 노년층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절차와 이용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 주도의 종합 대책이 나와야 한다. 당연한 사회 현상으로 넘기지 말고 모바일 디바이드를 줄이는 정부와 기업 차원의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