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반복된 5G 불법지원금, 판을 바꾸자

박지성기자
박지성기자

“LG V50 0원, 삼성 갤럭시S10 5G 10만원.”

5G 스마트폰 세계 최초 상용화 2개월도 지나지 않아 지원금 대란이 이동통신 유통망을 강타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5G 스마트폰에 60만원대 공시지원금에 더해, 40만∼50만원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을 투입했다. 유통점 리베이트가 이용자에 대한 불법지원금으로 전용되면서 휴대폰 집단상가와 온라인 폐쇄몰을 중심으로 페이백 등 불법판매가 등장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5G 초기 경쟁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과열경쟁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인다. 3G, LTE 등 차세대 이동통신 상용화 시기마다 지원금 경쟁이 반복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통사는 5G 이동통신의 질적인 진화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용(B2B) 사업과 플랫폼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와 같은 마케팅 과열 경쟁을 반복한다면 결국 이같이 선언은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이통사는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연간 설비투자(CAPEX) 가이던스도 공개하지 않아 투자자와 장비업계가 예측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이통사가 서비스 초반부터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공짜폰'을 뿌려댔다는 것은 스스로 엄살을 부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5G 출발선에 선 이통사가 이제라도 전략을 다시 점검했으면 한다. 언제까지 지원금 경쟁에 매달리면서 돈은 돈대로 쓰고, 정부에 과징금을 받고, 국민에게는 불법 이미지로 남을 것인가.

5G 시대에는 '경쟁의 판'을 바꿨으면 한다. 5G 스마트폰 지원금 경쟁 보다는 스마트시티, 자동차, 공장 등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계약이 체결됐다는 소식이 더 많이 들리는 게 이통사 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아닌 B2B·플랫폼 매출을 새로운 성과지표(KPI)로 개발해 경쟁하도록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