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떨어지는 '치매 전문가' 양성 과정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치매 환자를 돌보는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한 보완 요구가 높다. 치매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쉬운 이수 교육과정으로 이외 전문지식과 환자 대면 능력을 위한 추가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7일 의료업계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양성하는 치매전문인력은 60시간 교육과정과 소정 시험을 통과하면 요양병원 등 장기요양기관에 소속된다. 2017년부터 시행한 치매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치매국가책임제의 일환이다. 하루 8시간 수업으로 약 일주일간 교육을 받고 시험을 치며 올해 3월까지 요양보호사 과정을 수강한 5986명 중 75명만 불합격할 정도로 통과 기준이 쉽다.

실제 환자를 대면하는 의료진은 치매전문인력 실전 경험이 미흡하다고 평가한다. 교육 과정이 단편적이고 이수요건이 쉽기 때문이다. 다수 치매환자와 보호자로부터 실질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요청받는다.

의료진은 일주일간 수업이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직업 적성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 까다로운 시험 통과 요건 등 추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올해만 약 2만7000명 이상 치매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매월 교육을 시행한다. 관련 인력 숫자를 늘리는 양적성장에만 치우쳐 있다는 평가다.

치매전문인력 직무교육은 요양보호개론, 직업윤리, 노인성질환 이해, 응급처지 등으로 이뤄진다. 치매전문교육을 수료하면 치매전문요양보호사 또는 프로그램관리자로서 치매수급자에게 인지활동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격이 부여된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러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아직까지 초기 단계 과정이라고 평가한다. 환자 수요에 맞는 서비스 질이 갖춰지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치매환자는 단순히 기억력만 떨어지는 증상이 아니라 이상행동, 수면장애, 우울증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인원이 매번 모집 인원을 상회하는 만큼 전문성을 갖춘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치매 환자는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지속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약 10.2%인 72만 5000여명이 치매환자로 추산됐다. 치매는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정신·육체,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치매로 인한 건강보험 의료비가 2조 3436억원에 달해 2011년부터 국가 차원 치매관리정책을 추진했다.

치매 관련 업계 의료진에 따르면 “현재 치매전문인력 양성 과정은 장기요양보험 일환으로, 교육을 이수한 분이 쉽게 현장에 투입돼 치매환자나 가족에게 대응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는다”며 “늘어나는 치매 환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시행하는 교육과정인 만큼 커리큘럼을 보완하고 추후 시험이나 면담과 같은 지속 점검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성다교기자 dk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