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도입한 中企 매출, 고용 증가...미도입기업과 격차 벌어진다

스마트공장 도입한 중소기업의 매출과 고용이 모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이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고 23일 밝혔다.

스마트공장 도입 후 기업규모별, 매출규모별, 구축수준별, 솔루션별 고용성과 (자료 제공: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도입 후 기업규모별, 매출규모별, 구축수준별, 솔루션별 고용성과 (자료 제공: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도입 전과 비교해 기업 매출은 7.7% 증가하고, 평균 3명을 더 고용한 것으로 확인했다. 또 산업재해는 18.3% 감소하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이 조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기업을 대상으로 도입 전·후 성과를 심층분석해 나왔다.

조사결과 소규모 사업장일수록 공정개선과 경영환경 개선 등 높은 성과를 보였다.

10인이하 소규모 기업은 생산성이 39.0% 증가해 평균(30.0%)대비 개선효과가 높았고, 품질·원가·납기 개선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보였다. 매출액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도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은 원가가 31.2% 감소해 평균(15.9%)보다 2배 높은 성과를 보였다. 생산·품질·납기 개선효과도 컸다.

경영 부문에서도 소기업일수록 고용 및 매출 증가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업종별로도 소기업 비중이 높은 식료품 제조업, 목재 제조업 등이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 대부분(78.7%)이 레벨1~2 기초 수준 도입으로 생산성 효과에서 성과가 높았다. 레벨4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품질·원가·납기 부문에서 효과가 높았다.

중기부는 이번 조사에서 설문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공장을 도입하지 않은 기업 중에서 유사 조건을 가진 기업과 비교분석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기업데이터와 고용노동부 자료 등 행정데이터도 적극 활용했다.

스마트공장 도입을 완료한 기업과 유사 조건의 미 도입 기업에 대한 비교분석(PSM : Propensity Score Matching) 실시 결과. 도입 기업의 경영 성과가 더 높고, 시간이 갈수록 성과 격차는 더욱 커진다. (자료 제공: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도입을 완료한 기업과 유사 조건의 미 도입 기업에 대한 비교분석(PSM : Propensity Score Matching) 실시 결과. 도입 기업의 경영 성과가 더 높고, 시간이 갈수록 성과 격차는 더욱 커진다. (자료 제공: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도입 전에 비슷한 매출을 기록했던 두 개 기업군을 비교대상으로 두고, 1~2년 뒤 경영성과를 확인했다. 그 결과 스마트공장 미도입 기업과의 경영성과 격차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매출액·수출액·고용에서 성과가 더 높게 나타났고 그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크게 벌어졌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경영 성과 상승 곡선이 미도입 기업에 비교해 가파르게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선 여지가 많은 소규모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소규모 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저변확대와 함께 고도화된 공장을 구축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스마트공장 도입 후 성과 분석 결과 요약 > 자료 제공: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도입한 中企 매출, 고용 증가...미도입기업과 격차 벌어진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