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유전자 정보 활용', 해외 업체 이용하려니 '편법' 걱정

보험사 '유전자 정보 활용', 해외 업체 이용하려니 '편법' 걱정

부모가 자식에게 물려주는 유전자 정보가 보험 보장 분석과 상품 추천에 대거 활용된다. 보험 플랫폼 업체를 비롯한 법인보험대리점(GA)이 유전자 분석 해외 법인 회사와 제휴를 맺고 우회적 방법으로 관련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다만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을 받는 보험회사는 불법은 아니지만 도입에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보험 플랫폼 업체 위플랫은 마크로젠 일본 법인과 에이전시 계약을 체결하고 최근 보험설계사용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시작했다. 10만원 상당 키트에 타액(침)을 채취해 마크로젠 일본 법인에 보내면 DNA를 분석하고 보내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각종 암 질환을 비롯해 심뇌혈관질환, 당뇨 등 일반질환과 다이어트, 영양, 뷰티·헬스 등 약 80여종 항목에 대해 개인 유전체 특성과 질병 예측 및 관리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위플랫은 이 정보를 보험약관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해 고객 가입 보험 정보와 유전적 특성을 매칭해 꼭 필요한 보장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설계사들은 보다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정보로 맞춤형 보장 분석과 컨설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인슈어테크 업체 보맵주식회사도 '제노플랜 재팬'과 제휴,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보맵은 고객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개인맞춤 보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서비스는 연내 또는 내년 초에 론칭 예정이다.

이외 일부 GA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해외 업체에 키트를 보내고 유전자 정보를 받는 식으로 동일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들이 유전자 정보에 관심을 가진 것은 유효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구절벽이 현실화된 상황에 젊은 세대의 보험가입 니즈가 낮아지면서 보험가입을 설득하기 위해 통계 지표보다는 개인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장설계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들 업계 관계자는 “인구절벽이 현실화하고 포괄적인 보험상품 보다 개인에 필요한 보장만을 요구하는 소비자가 점차 늘고 있다”면서 “해외에선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험설계가 점차 늘고 있다는 점에서 도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외 검사를 통해 법적 문제도 해결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서는 유전자 분석을 하려면 본인이 병원에 방문해야 하고 분석 항목도 제한적”이라며 “해외 분석이 일종의 '편법'으로 비칠 수 있지만 위법은 아니다”고 답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키트를 이용해 유전자를 검사하는 방식은 제한되고 있다. 유전자 분석도 체질량지수·콜레스테롤·혈압·탈모 등 총 12가지 항목만 허용하고 질병 예측은 금지된 상황이다. 이 때문에 당국의 관리·감독을 받는 보험사들은 서비스 이용에 제한적이다.

대형 보험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을 받는 보험사가 우회적인 접근이라고 하지만 일종의 편법으로 서비스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면서 “형평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헬스케어 관련 유전자 정보 내용을 일부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