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스마트공장, '中企혁신+신기술 성장' 두 마리 토끼 잡아라

우리나라 스마트공장 보급과 제조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R&D)·표준화까지 담당할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공식 출범했다.

추진단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이 협력해 3만여개의 스마트공장을 확산시키는 구심점 역할을 맡는다. 스마트공장에서 나온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 제조업을 고도화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스마트공장은 국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미래 인프라다. 우리 대기업은 어느 정도 공장 자동화와 생산 공정 효율화를 스스로 갖춰 왔다. 이런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이식해서 중소기업의 체질 개선과 혁신을 지원한다면 국가 제조업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공정 혁신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의 핵심 수단으로, 앞으로도 상당 기간 언급될 것이다.

스마트공장 인력·지원 프로세스 설명. [자료:한국폴리텍대학]
스마트공장 인력·지원 프로세스 설명. [자료:한국폴리텍대학]

스마트공장 확산을 실마리로 해서 첨단 신기술 상용화도 함께 추진했으면 한다. 스마트공장에는 수많은 요소 신기술이 필요하다. 스마트공장 자체가 여러 신기술의 테스트베드이면서 신기술 활용의 시범 사업이 될 수 있다.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고도화된 통신까지 결합한다.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통해 미래 신기술 자체의 성장 기회를 함께 모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선 기업만큼이나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 대기업이 주변 중소기업을 일방적으로 지원하는 것처럼 만들어서는 안 된다. 이래서는 대기업이 참여를 비용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고, 실질적 효과도 미미할 수밖에 없다.

[사설]스마트공장, '中企혁신+신기술 성장' 두 마리 토끼 잡아라

'생태계에 속한 중소기업을 지원했더니 참여한 대기업 경쟁력도 함께 올랐다'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대기업이 스마트공장 참여를 비용이 아닌 투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유도해야 한다.

스마트공장 도입과 활용은 기업의 몫이다. 이 과정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윈윈'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만들 주체는 정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