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공공5G' 혁신모델 수립한다···5G로 정부 효율 극대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공 전산망에 유무선 랜(LAN)을 대체하는 5G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혁신서비스 모델을 수립한다.

공공 분야 선제적 5G 도입으로 초기 혁신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공공분야 5G 서비스 도입 및 확산방안' 정책 연구 과제를 발주했다.

5G 공공망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응용, 5G 가상의 공공망을 구성해 대국민(G2C)서비스와 정부내부(G2G)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의 5G를 활용하면 정부조직 이전 또는 네트워크 수요 변경에 따른 복잡한 공사없이 기존 유선랜보다 빠른 속도와 안정적 보안을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란 판단이다.

과기정통부는 공공부문에서 본격적 5G 도입에 앞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 타당성이 검증될 경우 예산 등 구체적 사업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책연구 핵심은 범정부 차원에서 5G기반 공공망 도입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공공기관과 지자체, 학교 등 3만개 기관을 대상으로 적용할 5G 활용 전산망 도입 방안을 검토한다. 공공망에 적용하기 위한 5G망 구조와 사업모델, 네트워크슬라이싱 기술 요구사항과 보안성 기준을 도출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유무선 랜(LAN)을 대체하기 위한 5G 스몰셀 도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CCTV와 인터넷망, 업무망, 사물인터넷(IoT) 망 등 공공네트워크 구성과 서비스 현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망구조를 개발한다.

이후 실제 대국민 공공서비스와 관련, 5G를 적용한 서비스모델을 수립한다. 공공용 로봇, 드론, IoT 서비스 등과 관련, 5G를 적용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일본,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 유사 서비스가 있는지도 폭넓게 조사할 예정이다.

공공분야 5G 선도 적용은 5G플러스(+) 전략 핵심과제다.

과기정통부는 5G 네트워크를 공공 네트워크에 전면 적용 구상을 검토해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하는게 목적이다.

과기정통부가 정책 추진을 확정할 경우, 본격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2020년 이후 예산을 신청해 관련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망 5G 적용에 대한 정부 구상이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도입 가능성이 상당히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연구 자체만으로 얻은 기술요구 조건과 서비스 모델은 향후 정부·공공기관 전산망 진화와 신규 서비스 도입은 물론, 민간기업의 5G 망구축에 있어서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플러스 전략에 따라 공공분야 5G 네트워크 확산방안을 마련하겠다”면서 “사업화 가능성은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표〉공공분야 5G 서비스 도입 및 확산방안

과기정통부, '공공5G' 혁신모델 수립한다···5G로 정부 효율 극대화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