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희 서울대 AI위원회 위원장 "기업 수요 충족하려면 매년 AI인재 7000명 필요"

최양희 서울대AI위원회 위원장 사진:윤성혁 기자 shyoon@etnews.com
최양희 서울대AI위원회 위원장 사진:윤성혁 기자 shyoon@etnews.com

“우리나라 기업 상황을 비춰볼 때 매년 7000명의 인공지능(AI) 인력이 양성되어야 합니다. 현재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정부 차원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최양희 서울대 AI위원회 위원장은 AI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여러 전문가를 만나고, 연구결과를 본 결과 1년에 AI 인력 7000명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면서 “국내 기업 수요를 충족하기는 커녕 다른 국가에 비해 기초적인 AI 인력조차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최 위원장은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정원은 55명이며, KAIST도 100여명 밖에 되지 않는다”며 “칭화대 2000명, 스탠퍼드 700명, MIT도 200~300명 수준”이라고 말했다.

외국 대학 정도로 AI, SW 학과 정원을 수천명 수준으로 대폭 늘려야 AI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현실은 제도에 갇혀 대학 정원을 쉽게 늘리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과거 SW중심대학을 도입한 것처럼 뭔가 정부에서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양희 서울대AI위원회 위원장. 사진:윤성혁 기자 shyoon@etnews.com
최양희 서울대AI위원회 위원장. 사진:윤성혁 기자 shyoon@etnews.com

최 위원장은 평생교육원을 AI 교육 기관으로 재편하는 것도 제안했다. 학부 정원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AI인재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AI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평생교육원이 AI 관련 직업 재교육을 전문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많은 직장인이 AI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제대로 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곳이 많이 없다”고 말했다. 대학이 수준 높은 AI 재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행하고, 수료한 이에게는 자격증도 주는 방식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각각의 전문 분야에 AI가 접목되면 직장인은 전문성과 급여가 상향될 것”이라며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대학도 AI재교육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금이라도 우리나라가 AI 전략을 펴지 않는다면 다른 국가가 만든 AI 룰과 플랫폼에 종속될 것이라고 최 위원장은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정부가 AI에 국가적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알지만, 더 이상 기다리지 말고 이제는 앞서 나가는 AI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AI분야에서 다른 국가를 뛰어넘을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AI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는 “요즘 단대별 AI 관련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며 “공대가 아닌 인문, 예술, 사회대에서 AI를 접목한 연구가 예전부터 이뤄지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놀라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문학과에서 AI를 이용해 연대 미상인 다수의 한시 작품이 쓰여진 시기를 밝혀내기도 했다. 최 위원장이 그 성과에 깜짝 놀랐다.

최 위원장은 “AI는 사회, 경제, 정치, 교육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향후 10~20년 동안 사회를 이끌어가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