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7주년:기술독립선언II]미·중·일 등 IoT 시장 확산 전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경기도 판교에서 운영 중인 글로벌 IoT 시험인증센터에서 직원이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경기도 판교에서 운영 중인 글로벌 IoT 시험인증센터에서 직원이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글로벌 주요 선진국은 정부 정책 차원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시장 확산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은 방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민간 시장 투자가 가장 활발하다.

미국 정부는 2015년 사물인터넷 국가전략 결의안을 도출했다. 결의안은 공공과 민간에 IoT 산업 활성화와 관련한 지침을 제시해 스마트시티 등 인프라를 확산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시장 확산 방안을 마련했다.

미국은 민간 투자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구글과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이 IoT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350억달러를 투자했다.

일본은 민관 협력을 통한 IoT 지원정책 발굴과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총무성이 중심이 된 IoT 추진 컨소시엄을 2015년 발족해 표준화와 기술 개발, 기업 간 제휴 등을 지원한다. 2016년에 일본 정부가 발표한 IoT 정책 로드맵은 2025년까지 모든 일상생활 영역에서 IoT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 목표를 제시했다. 2017년에는 IoT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빅데이터 공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안정적인 IoT 데이터 거래 지원 기반을 조성했다.

중국은 IoT 시장에서도 막강한 자금력을 동원한 물량공세를 펼친다.

중국 정부는 IoT를 '과학기술 중장기 발전계획'에 포함하고 1조2000억원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했다. 중국 민관 합동으로 스마트홈산업연합을 출범해 기술 개발과 플랫폼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옛 미래창조과학부가 IoT 확산에 대한 체계적 계획을 담은 'K-ICT 사물인터넷산업 확산전략'을 2015년 12월 발표했다. 전략은 헬스케어와 제조업, 교통, 홈IoT, 스마트에너지, 스마트시티 등 6대 분야를 선정해 투자와 기술 개발을 집중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 같은 전략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전략에 대부분 계승됐다. 하지만 IoT 분야에도 보다 집중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oT 업계 관계자는 “IoT 산업 확산전략 추진 상황에 대한 점검이 급선무”라면서 “이후 IoT에 특화한 전략을 계승·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S&P캐피털IQ 조사에 따르면 2017년 현재 IoT 관련 기업 수는 미국이 41.7%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8.2%, 일본 4.2%, 한국 2.8%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미국이 53.1%, 중국 13.8%, 한국 9.7%, 일본 0.3%다. 미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기업 수는 적지만 IoT 분야에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대기업이 선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