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상생협력으로 스마트 제조혁신 이끈다

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독일 경제는 2009년 경제 위기 여파로 -5.1%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듬해에 3.4% 성장을 기록하며 선진국 가운데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독일은 전통으로 제조업을 중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시장 다변화에 성공했다. 한걸음 더 나아가 2011년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더스트리 4.0'을 발표하고 세부 방안으로 스마트 공장을 도입했다. 또 제조업 디지털화와 소재 중심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6년 '미텔슈탄트(중소기업) 4.0'을 발표했다.

한국 경제는 제조업 비중과 무역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독일의 경제 구조와 비슷한 면이 있다. 독일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제조업 혁신을 추진하며, 우리도 국내 실정에 맞는 스마트 공장을 도입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국내에서도 제조업 르네상스를 이끌 조짐이 보이고 있다. 대기업이 협력 기업에 상생 협력 실천 방안으로 스마트 공장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정부도 이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도 받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 일명 다보스포럼)에선 최첨단 기술과 인프라를 도입해 제조업의 미래를 제시한 곳을 '등대공장'이라 명명했다. 올해 1월 처음 도입돼 7월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26개 기업이 선정됐다. 이 공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큰 흐름인 연결성, 스마트화, 사회 공헌 등 적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한국은 포스코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포스코가 협력사의 스마트 공장 지원을 위해 5년 동안 200억원을 지원, 스마트 공장 1000개를 짓기로 한 것도 선정 이유의 하나로 평가된다.

프랑스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INSEAD)의 장 클로드 라레슈 교수는 기업이 지속 성장하는 비결을 '모멘텀 효과'에서 찾는다. 모멘텀 효과는 기업 성장의 가속 효과를 만들어 내는 힘을 뜻한다. 마케팅 활동을 통해 고객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제품 자체가 스스로 팔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다.

필자는 이것을 기업 간 협력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미 기업 간 경쟁이 아니라 기업 생태계 간 경쟁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애 따라 기업은 협력 업체와의 상생 협력을 통해 성장 모멘텀을 만들 수 있다.

오늘날 경제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술 융·복합이 이어지고 기업 간 경쟁과 협력도 끊임없이 일어난다. 기업이 지속 성장을 하기 위해선 협력 업체와의 상생이 절대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대기업이 중소기업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출연하는 상생 협력 기금이 지난해 말 기준 1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2013억원이 조성됐다.

상생 협력 기금이 급증한 것은 동반 성장에 대한 대기업의 인식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발맞춰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 협력 기금의 관리·운영 안정화를 위해 2017년 11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촉진법에 출연 근거를 마련했다. 조세특례제한법상 출연금의 10% 세액공제 기간도 2021년까지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 기업이 상생 협력을 추진하면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방식으로 상생 협력 정책 패러다임을 전면 개편했다. 이를 통해 성과공유제, 스마트 공장, 민·관공동 연구개발(R&D), 해외 동반 진출 등 대기업이 상생을 주도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을 지원하면 정부는 예산을 매칭 지원하거나 세제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모멘텀 전략은 기업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성장 기회를 찾게 하고, 그 성장이 또다른 성장을 낳게 해 주는 사이클이다. 상생 협력 기금을 활용해 대·중소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을 지원하는 활동은 상생과 공존을 통해 제조 혁신을 일구는 원동력이다. 제조업 혁신을 위해서는 대기업이 나서야 한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예산과 투자를 집중시켜야 한다.

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ksc@win-wi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