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퀀텀닷(QD) 디스플레이'에 13.1조원 투자…"대형 디스플레이 패러다임 주도"

English Translation

아산캠퍼스서 신규 투자식 열어...2025년까지 13조1000억 투입 2021년 세계 첫 양산라인 가동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전경.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 전경.

삼성이 차세대 프리미엄 TV 디스플레이 기술로 '퀀텀닷(QD) 디스플레이'를 낙점했다. 삼성은 세계 최초로 대형 QD 디스플레이 기술을 양산하기 위해 2025년까지 13조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대형 디스플레이 주력 기술을 액정표시장치(LCD)에서 QD로의 전환에 본격 나선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0일 충남 아산캠퍼스에서 신규 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을 열고 2025년까지 QD 디스플레이 생산시설 구축과 연구개발(R&D)에 총 13조1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 등을 비롯해 주요 협력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기술 방향을 QD 디스플레이로 전환한다. QD(양자점)은 자연색에 가깝게 색을 재현할 수 있는 물질이다. QD 디스플레이는 퀀텀닷 물질과 회로소자 및 유·무기 발광재료 기술을 융합한 디스플레이다. 유기물질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무기물인 QD를 융합해 더 많은 색을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성능과 수명을 기존 기술보다 개선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면 폴더블, 롤러블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디자인을 혁신할 수도 있다.

삼성, '퀀텀닷(QD) 디스플레이'에 13.1조원 투자…"대형 디스플레이 패러다임 주도"

문 대통령은 “디스플레이 산업은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의 근간”이라면서 “우리는 세계 1위의 OLED 경쟁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해 정부도 향후 7년 동안 4000억원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투자하겠다고 선포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10일) 신규 투자 협약식은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 경쟁력을 지키면서 핵심 소재·부품·장비를 자립화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디스플레이, 제조 강국'으로 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5년까지 13조1000억원을 투자, 아산1캠퍼스에 세계 최초의 QD 디스플레이 양산 라인인 'Q1라인'을 구축키로 했다. 기존 8세대 LCD 라인을 단계별로 전환하고 초기 3만장 규모로 2021년부터 가동을 시작, 65인치 이상 초대형 QD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생산 능력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자연색에 가까운 빛을 내는 반도체 입자인 QD는 대형 디스플레이 산업의 미래 성장 비전”이라면서 “이번 투자로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며 각오를 다졌다.

삼성은 신기술 상용화 속도를 내기 위해 기존 LCD 인력을 QD 디스플레이로 전환 배치한다. QD 재료 연구와 공정 개발 전문 인력도 신규 채용할 방침이다. 회사 측은 이번 투자로 신규 채용 외에 5년 동안 약 8만1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삼성은 사업 초기부터 부품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원천 기술을 내재화하는 등 협력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공급망을 이원화하고 부품 경쟁력을 높이는 등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과의 협력 수위를 높인다.

이와 함께 국내 디스플레이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해 국내 대학들과 함께 '디스플레이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산·학 협력도 강화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소재·부품·장비 공급 및 수요 기업 간 상생협력 협약식도 열렸다.

문 대통령은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부품·장비 자립화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해 디스플레이 핵심 장비를 국산화한 '그린광학' 사례는 핵심 부품·장비 자립화 측면에서도,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 면에서도 좋은 모범이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협약식에 앞서 삼성디스플레이 생산공장을 방문, 임직원을 격려했다. R&D 직원들과 만나 폴더블·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관한 설명도 들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