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신승원 카이스트 교수 "암호화폐로 전성기 맞은 '다크웹' 조사·연구 필요하다"

[이슈분석]신승원 카이스트 교수 "암호화폐로 전성기 맞은 '다크웹' 조사·연구 필요하다"

“암호화폐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익명성이 보장된 다크웹은 날개를 달았습니다. 국내서도 관련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합니다.”

신승원 카이스트 교수는 국내 다크웹 범죄가 이미 현실화가 된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다크웹은 초기 인터넷 검열 등을 피하기 위해 언론의 자유, 공산국가 정치 상황을 해외 알리는 용도로 시작됐다”면서 “목적 자체가 실제 트래픽을 보내는 사람을 숨기다보니 자연스럽게 음성적으로 마약, 무기 등 거래가 이뤄지면서 범죄 온상으로 변질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전체 다크웹 이용자 가운데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동음란물, 대마초 등 거래가 적발되기도 했다”면서 “과거에도 위협이 있었으나 최근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었으며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이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다크웹 특성상 범죄 사이트 운영자 등은 적발 가능하지만 사용자를 잡아내기는 어렵다. 실질적으로 수요자를 막을 수 없어 범죄 고리를 끊을 수 없다. 마약거래뿐 아니라 악성코드 제작자 등은 이미 다크웹으로 상당이 이동했다.

신 교수는 “유명 해외 마약거래 사이트 등이 FBI와 CIA등을 통해 운영자가 구속되며 사이트가 폐쇄됐지만 이와 유사한 사이트가 지속 생겨났다”면서 “수요자 입장에서는 물건을 사더라도 적발되지 않아 안전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점차 다크웹으로 범죄자가 모이는 형태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크웹 위협이 현실로 다가왔지만 국내서는 이를 연구할 인력과 시스템 등은 턱없이 부족하다. 경찰청과 검찰 등이 지난해부터 다크웹 수사를 위해 전담 팀을 만들었지만 아직 시작단계다.

게다가 미국 등 다크웹에 대해 앞선 국가는 범죄수사에 적극 협조하긴 하지만 관련 시스템 노하우, 정보 제공 등은 제한적이다.

신 교수는 “해외와 비교해 우리는 다크웹에 대한 분석과 대응은 많이 늦었다”면서 “미국 등은 다크웹에 대해 상당히 앞서있지만 다크웹 내 국가 안보관련 글도 상당히 많이 공유되는 만큼 국가안보를 내세워 범죄 추적 노하우 등까지 공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다크웹은 데이터 수집이 굉장히 어려울 뿐 아니라 기술적인 난도가 높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관련 인력양성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