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ESS 화재 근절 선언…"배터리 생태계 복원 총력"

삼성SDI가 14일 서울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설명회를 열고 최근 잇따르고 있는 ESS 시스템 화재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안전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허은기 삼성 SDI 시스템개발 전무가 배터리 셀에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열 확산 방지가 이뤄지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삼성SDI가 14일 서울 태평로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설명회를 열고 최근 잇따르고 있는 ESS 시스템 화재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안전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허은기 삼성 SDI 시스템개발 전무가 배터리 셀에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열 확산 방지가 이뤄지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를 근절하기 위해 삼성SDI가 대대적인 안전 강화 조치를 내놨다. 화재 원인과 상관없이 ESS 화재 재발을 막고 위기에 빠진 국내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살리는 데 우선 노력하기로 했다.

이번 대책은 ESS 화재를 막겠다는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이은 ESS 화재와 국내 업체 간 소송전으로 위기를 맞은 국내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민간 차원의 노력이어서 주목된다.

삼성SDI는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설명회를 열고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ESS 발화가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근원부터 차단할 수 있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전국 사업장에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특수 소화시스템은 특정 배터리 셀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바로 소화시키고, 인접 셀 간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원천 방지한다. 삼성SDI가 신규 판매하는 ESS용 배터리에는 특수 소화시스템이 전면 도입된다. 또 이미 설치·운영되고 있는 국내 1000여개 사이트에도 기존 배터리 모듈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설치 비용과 공사 기간 가동 중단에 따른 손해는 전액 삼성SDI가 부담한다. 이번 조치는 이달 시작해 약 6개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이미 지난해 7월부터 국내 전 사업장 대상으로 외부의 전기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3단계 안전 조치를 이달 말 완료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추가 대책을 포함해 안전 강화 조치 완료에 1500억~2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부장 부사장은 “1단계 조치가 완료되는 10월 이후에는 현재와 같은 유형의 화재는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시장과 사회의 불안감을 완전 해소하기에는 불충분한 측면이 있다는 생각에서 대형 화재를 막을 특수 소화시스템을 신속히 설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2017년 8월부터 국내에서 발생한 26건의 화재 사고로 국내 ESS 생태계는 위기를 맞았다. 올해 ESS 신규 수주 건수는 지난해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지난 6월 정부의 안전강화 대책 발표 이후에도 3건의 추가 화재가 발생하며 불안이 커졌다.

ESS는 배터리 외에도 에너지관리시스템(EMS)·전력변환장치(PCS) 등의 요소로 구성되고 배터리 제조사, 중전기 업체, 설치시공사, 운영사 등 여러 주체가 관여한다. 화재 원인 상당수도 배터리 외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배터리 제조사가 수천억원을 들여 안전 강화 조치에 나선 것은 산업 자체가 붕괴되면 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국내 ESS 생태계가 급격히 커지면서 경험이 없거나 영세한 사업자가 뛰어드는 경우가 많아 해외에 비해 안전 관리가 소홀한 경우가 많다는 점도 고려됐다.

삼성SDI 관계자는 “자사 배터리가 화재 원인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국내 ESS 생태계 복원을 위해 선제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번 조치가 추가 대형 화재를 막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배터리안전워크샵(IBSW) 이사회 멤버로 활동하고 있는 조원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에너지저장연구단 박사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부 및 업계의 조치와 연구 부문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야 즐탁동시 효과가 날 것”이라면서 “이와 함께 국내 배터리 제조사 간 원활한 합의를 통해 소송전에 투입되는 천문학 규모의 비용을 안전성 분야에 투자한다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