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경]문 대통령의 'AI 국가전략'

[관망경]문 대통령의 'AI 국가전략'

문재인 정부가 임기 반환점을 지났다. “벌써”라고 반응하는 사람도 있고 “아직도”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임기 전반부에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관계에서 가장 많은 진전을 이뤘다.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두 차례 북·미 정상회담, 판문점에서의 남·북·미 정상 회동 등은 '국면 전환용' 카드로 충분했다. 최근엔 이 같은 흐름이 좋지 않다. 지지율을 끌어올릴 만큼의 반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임기 내 마침표를 찍기가 쉽지 않다.

후반전은 결국 '경제'에서 승부를 내야 한다. 다른 부분에서 좋은 성과를 내더라도 경제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하면 모든 것이 실패로 귀결된다. 그동안 추진해 온 경제정책 결과물을 돌아보고 지속할 부분과 변화를 줄 부분에 대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한 해결책을 내놔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9에서 로봇 미니치타를 직접 조정해 보고 있다. 이 로봇은 이번 행사에서 국내 최초로 공개됐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9에서 로봇 미니치타를 직접 조정해 보고 있다. 이 로봇은 이번 행사에서 국내 최초로 공개됐다. <사진:청와대>

문 대통령은 다음 달 '인공지능(AI) 국가전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미래혁신 산업으로 AI를 꺼내들었다. 임기 반환점을 지나서야 이 같은 전략이 나온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지만 그만큼 충실히 준비했으리라 믿는다.

AI는 우리 삶을 하루가 다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국민 체감도가 가장 높은 정책 분야가 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에 전력을 다해야 하는 이유다. AI 국가전략에는 단순히 선진 기업 따라하기 식이 아닌 우리만의 차별화된 혁신 정책이 디테일하게 담겨야 한다. 정책 연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고민도 필요하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제 가슴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열정으로 뜨겁다”고 피력했다. 그 열정이 '정보기술(IT) 강국에서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국민에게는 더 나은 삶의 청사진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관망경]문 대통령의 'AI 국가전략'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