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연세대, 암세포 면역세포 억제 핵심원리 규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가 다른 대학과 진행한 협력 연구로 암세포의 면역세포 억제 핵심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암 치료 전략 제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KAIST는 신의철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이 민병소·김호근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팀과 함께 암 환자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억제해 면역반응을 회피하게 만드는 핵심원리를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KAIST, 연세대 공동연구팀이 발견한 암세포 면역세포 억제 핵심원리 개념도
KAIST, 연세대 공동연구팀이 발견한 암세포 면역세포 억제 핵심원리 개념도

암 환자는 T세포를 비롯해 암세포에 대항하는 면역세포 기능이 현저히 약해져 있다. 주된 이유는 T세포가 'PD-1'이라는 억제 수용체를 과다 발현하기 때문이다. 면역항암제도 이 PD-1 억제 수용체 기능을 차단, T세포 기능을 회복시키는 원리로 작동한다. 그러나 면역항암제는 아직 투여받은 암 환자 중 일부에게만 치료 반응이 나타나고 있어, 많은 연구자가 다른 이유를 활발히 찾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그간 혈관형성인자로만 알려졌던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단백질이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기능을 약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임을 새롭게 밝혀냈다.

VEGF는 혈관 형성 이외에도 T세포 억제라는 중요한 작용을 해 암 성장을 돕는다. T세포 표면 발현 수용체에 결합, 톡스(TOX)라 불리는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 톡스는 T세포 기능을 억제하고 약화하는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연구팀은 암 환자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을 높이는 전략도 제시했다. VEGF 저해제를 면역항암제와 함께 사용하면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동물 모델에서 면역항암제와 VEGF 저해제를 병합 치료해 우수한 항암효과를 증명했다.

신의철 교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 사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상세히 연구함으로써 임상 치료 전략을 제시하게 됐다”며 “향후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면역기전 연구 및 면역항암제 개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