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선한 동기가 반드시 옳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기자수첩]선한 동기가 반드시 옳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최근 의료계는 '강아지 구충체(펜벤다졸)' 논란으로 홍역을 앓고 있다. 강아지 구충제가 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미국인의 고백이 유튜브를 타고 우리나라에까지 전파됐다. 동물병원에서는 강아지 구충제가 품절됐고, 해외 직접구매는 폭증했다.

시간이 갈수록 강아지 구충제는 수많은 암환자에게 희망이자 기적으로 여겨졌다. 한 유명인이 유튜브를 개설해 강아지 구충제 복용을 통해 증세가 호전됐다고 밝혔고, 어떤 이는 복용 과정을 모두 공개하기도 했다.

인터넷을 통한 확산은 빨랐다. 유튜브로 시작해 카페, 블로그, 카카오톡 등 각종 포털과 메신저로 이들 소식은 재전달됐다. 복용법, 흡수율 개선, 구매처 등도 공유됐다. '사람 생명'이라는 절박함을 타고 검증되지 않은 수많은 소식은 삽시간에 퍼졌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정부 보건 당국과 의사협회 등은 강아지 구충제의 위험성에 대해 적극 알리기 시작했다. 대한의사협회는 현재까지 사람을 대상으로 한 항암 효과의 임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모든 의약품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지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전문가의 복용 자제 권고는 또 다른 루머를 불러들였다. 거대 제약사와 의사가 짜고 저렴한 강아지 구충제를 먹지 못하게 한다는 내용이다.

강아지 구충제 복용을 알린 수많은 유튜브·블로거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정보를 나르고 공유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들 대부분이 병의 고통을 아는 환자 또는 그의 가족이다. 죽을 고비를 넘긴 이들은 다른 사람에게도 희망을 주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선한 동기가 반드시 옳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사람 목숨이 달려 있기 때문에 신중성을 더 기해야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보건 당국이 신약에 대해 수많은 임상을 거치게 하고 제약사가 천문학적 투자를 단행하는 이유는 카르텔을 만들어 돈을 벌겠다는 것이 아니다. 약의 효능을 확인하고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다. 의약품은 스마트폰, TV와 같이 즐기는 도구가 아니라 사람 생명과 직결돼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